12연기의 정형구를 아비담마 길라잡이를 통해 톺아보자.
여기서 (1) 무명을 조건으로 [업]형성들이, (2) [업]형성들을 조건으로 알음알이가, (3) 알음알이를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4)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장소가, (5) 여섯 감각장소를 조건으로 감각접촉이, (6)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7)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8) 갈애를 조건으로 취착이, (9)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10)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11)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모든 괴로움의 무더기가 일어난다. 이것이 여기서 연기의 방법이다. 먼저 청정도론에 기술된 12연기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알아보았다. 해당 내용은 아래 글에 기술되어 있다. 12연기의 구성요소를 청정도론을 통해 톺아보..
2022. 11. 25.
12연기의 구성요소를 청정도론을 통해 톺아보자.
여기서 (1) 무명을 조건으로 [업]형성들이, (2) [업]형성들을 조건으로 알음알이가, (3) 알음알이를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4)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장소가, (5) 여섯 감각장소를 조건으로 감각접촉이, (6)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7)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8) 갈애를 조건으로 취착이, (9)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10)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11)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모든 괴로움의 무더기가 일어난다. 이것이 여기서 연기의 방법이다. 청정도론 17장에 나타나는 연기법의 12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살펴본다. 1. 무명에 대해서 36. 왜 여기서 무명을 첫 번째로 설하셨는가? 상캬학..
2022. 11. 24.
52가지 마음부수의 개관
1. 아름다운 마음부수들에서 몸과 마음의 6개조 마음부수들 중 ‘몸’의 의미는 육체적인 몸이 아닌 ‘마음부수’를 의미한다고 했다. 여기서 마음부수, 심소법은 5온 중 3온(=수상행, 느낌·인식·심리현상)을 뜻한다. 따라서 82법은 물질 28가지(=색온), 마음 1가지(=식온), 열반 1가지를 제외하면 마음부수 52법 중 수온 1가지, 상온 1가지, 나머지 행온이 50가지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아야 한다. 형성된 유위법은 81법이고, 형성되지 않은 무위법은 열반으로 1가지이다. 오온은 정신(=수온, 상온, 행온, 식온)과 물질(=색온)로 이루어져 있다. 2. 2장에서 정의한 마음부수법의 정의를 하나 하나 이해했으면, 그것이 내 안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자기 자신에게 적용시켜봐야 한다. 부처님 말씀을 자신의 ..
2022. 11. 10.
3. 아름다운 마음부수들 25가지 - 아름다운 때때로들 6가지 (2)
1. 25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법은 ‘반드시들’ 19가지와 ‘때때로들’ 6가지로 구분된다. 2. 때때로들 6가지는 절제 3가지, 무량함 2가지, 어리석음 없음 1가지로 구분된다. 어리석음 없음(amoha) 1가지 - 어리석음 없음, amoha는 마음부수에서 통찰지, paññā와 동의어로 쓰인다. - 그래서 통찰지도 어리석음 없음의 범주에 포함시켜 설명하며, 통찰지를 통찰지의 기능이라고 표현한다. - 아비담마에서는 탐, 진, 치와 불탐, 부진, 불치의 여섯을 원인(hetu)으로 중요하게 다룬다. - 담마상가니 §34 “무엇이 그때에 있는 ‘어리석음 없음’인가? 그때에 있는 통찰지, 통찰함, 간택, 꿰뚫어 간택함, 법의 간택, 주시함, 응시함, 차별화함, 영민함, 능숙함, 숙달됨, 분석함, 사색, 자세히 관..
2022. 11. 9.
3. 아름다운 마음부수들 25가지 - 아름다운 때때로들 6가지 (1)
1. 25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법은 ‘반드시들’ 19가지와 ‘때때로들’ 6가지로 구분된다. 2. 때때로들 6가지는 절제 3가지, 무량함 2가지, 어리석음 없음 1가지로 구분된다. 절제(virati) 3가지 - virati는 문자적으로는 ‘기뻐하는 것에서 벗어난다’이며, ‘끊음, 절제, 자제’를 뜻한다. - 니까야에서는 “네 가지 말로 짓는 나쁜 행위를, 세 가지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를, 그릇된 생계를 억제하고 절제하고 제어하고 금하는 것”(M117) 등으로 나타나고, “불선법을 억제하고 절제하며”(Sn. 264) 등으로 나타난다. - virati는 주석서와 아비담마에서 전문용어로 팔정도 중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셋을 지칭한다. - 절제는 세 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로서 말과 행동과 생계로 나..
2022. 11. 8.
3. 아름다운 마음부수들 25가지 - 아름다운 반드시들 19가지 (2)
1. 25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법은 ‘반드시들’ 19가지와 ‘때때로들’ 6가지(절제 3가지, 무량함 2가지, 어리석음 없음 1가지)로 구분된다. 2. 다음의 12가지 공통되는 아름다운 마음부수는 여섯 쌍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은 [정신적] 몸(kāya)과 마음(citta)이라는 용어로 연결된다. 여기서 ‘몸’은 물질적인 몸이 아닌 정신적인 몸을 뜻하며, 즉 마음부수와 동의어이다. 느낌, 인식, 심리현상들(수, 상, 행)의 세 가지 무더기, 3온이 그것이다. 초기불전에서 몸은 크게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1️⃣ 물질적인 몸(rūpa-kāya), 즉 육체다. 2️⃣ 정신적인 몸(nāma-kāya), 즉 마음부수다. 3️⃣ 무리(nikāya), 예를 들면 갈애의 무리, 알음알이의 무리, 아수라 무리 등이다. ..
2022. 11. 5.
2. 해로운 마음부수들 14가지 - (4) (해로운 때때로들 10가지 중) 해태의 두 개 조, 의심 1가지
해태의 두 개 조(thīna-duka) 해태(thīna) 혼침(middha) 해태의 원의미는 마음이 뻣뻣해지고 굳어지는 현상을 뜻한다. 혼침은 몸이 비대한 사람이 매우 둔하듯이 마음이 무겁고 게으른 상태를 나타낸다고 보면 되겠다. 초기불전에서는 대부분 해태·혼침(thīna-middha)이라는 합성어로 나타나며 다섯 가지 장애(오개)의 세 번째 요소로 나타난다. 담마상가니에서는 해태를 “마음의 내키지 않음, 일에 적합하지 않음, 굼뜸, 축 처짐, 의기소침, 움츠러듦, 움츠러든 상태, 해태, 나태함, 마음의 나태한 상태”로 설명하고 혼침을 “몸의 지둔함, 적합하지 않음, 덮임, 완전히 덮임, 안이 가로막힘, 혼침, 잠, 졸음, 잠듦, 잚든 상태”로 설명한다. 물론 여기서 몸은 주석서의 설명처럼 정신적인 몸(..
2022.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