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talakkhaṇa-sutta - 빠알리 원전 강독 (5)
4번째 문단에서는 오온이 무아인 2번째 이유가 시작된다. 여기서 부처님은 삼특상을 통해 무아를 설하신다. 무상하며 괴롭다는 두 가지 특상으로 무아라는 특상을 드러내신다. "taṃ kiṃ maññatha, bhikkhave, rūpaṃ niccaṃ vā aniccaṃ va"ti? "aniccaṃ, bhante". "비구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물질은 항상한가, 무상한가?" "무상합니다, 세존이시여." Taṃ은 '그, 그것, that thing'이라는 중성 지시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 pron. = pronoun)이다. 같은 지시대명사로 so는 그, sā는 그녀, taṃ은 그것으로 각각 남성, 여성, 중성 지시대명사임을 같이 알아두면 좋다. Kiṃ은 '무엇? What?'이라는..
2023. 6. 1.
Anattalakkhaṇa-sutta - 빠알리 원전 강독 (1)
1. 모든 빠알리어 명사는 모음(a, e, i, o, u)으로 끝난다. 이 중 가장 기본적인 모음은 a, i, u 이며, 이것들이 1차 곡용이 되어서 각각 ā, e, o 로 쓰인다. 2. 명사의 경우 여러 ending 형태에 따른 격변화 규칙을 바르게 알고, 문장에서의 쓰임을 알아 해당 명사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8개의 격 이름은 뜻을 바로 연상하기 어려운 한자 문법 용어보다 아래와 같이 한글 용어로 치환하여 인식하면 편하다. 한자 한글 영어 주격 은는격 nom (nominative case) 목적격 을를격 acc (accusative case) 도구격 의한격 ins (instrumental case) 여격 에게격 dat (dative case) 탈격 부터격 abl (ablative case) 소유..
2023.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