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열반279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④ 선서sugato이신 이유 4가지 4. 네 번째 덕목 - 선서sugato So bhagavā itipi sugato.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열반으로) 잘 가신 분이시다. su-(좋은, 훌륭한) + gata(√gam가다 → 과거분사형)라고 하여 수가또를 (열반으로) 잘 가신 분, 훌륭하게 가신 분이라고 한다.한자어로도 善逝는 '좋을 선, 갈 서'로 잘 가신 분을 뜻한다. 자세하게는 아래 4가지 이유로 수가또라고 불리신다.Sobhana-gamanattā sugato: (팔정도를 수행하시며) 아름답게 가시기 때문에 수가또이시다.Sundaraṃ ṭhānaṃ gatattā sugato: (닙바나라는) 좋은 곳으로 가셨기 때문에 수가또이시다.Sammā gatattā sugato: (아라한이 되어) 바르게 가셨기 때문에 수가또이시다.Sammā .. 2025. 4. 5.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③ 명행족vijjācaraṇasampanno, 8가지 지혜와 15가지 실천이 완벽한 분 (2) 이전 글에서 '지혜와 실천이 완벽한 분', 윗자짜라나삼빤노의 의미와 15가지 실천에 대해 알아보았다.윗자는 부처님의 삽반뉴따냐나, 짜라나는 부처님의 마하까루나를 상징한다.32. 세존이 영지를 구족하심은 일체지(sabbaññutā)를 원만히 하신 뒤 성취하셨으며, 실천을 구족하심은 크나큰 연민을 원만히 하신 뒤 성취하셨다. 그분은 일체지로 모든 중생들에게 이로운 것과 해로운 것을 아시고 크나큰 연민으로 해로운 것을 피하게 하고 이로운 것을 행하도록 권장하셨다. 마치 영지와 실천을 구족하셨던 다른 [과거의 부처님들]처럼. 그래서 영지와 실천을 구족하지 않은 [외도]들의 제자들은 자신을 괴롭히는 [고행] 등을 하면서 [나쁜 도닦음을 가지지만] 그분의 제자들은 나쁜 도닦음을 가지지 않고 좋은 도닦음을 가지는 것.. 2025. 3. 24. 계와 수행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계와 수행의 이익은 무엇입니까?보시는 몸과 말을 단속하지 않고도 베풀려는 의도만 있으면 실천할 수 있습니다.계는 몸과 말로 악행을 범하지 않도록 특별히 신경 써서 단속하는 것이므로 보시보다 공덕이 큽니다.계를 잘 지키면 재산이 늘고, 좋은 명성을 얻고, 어디서든 당당하고, 죽을 때 헤매지 않고 정돈된 마음으로 임종하므로 천상에 태어납니다.계를 잘 지키면 후회가 없습니다. 자신의 청정한 계를 생각했을 때 기뻐서 마음이 편안해지고, 행복해지고, 쉽게 삼매에 듭니다.삼매에 든 마음에는 빠라맛타 법들이 있는 그대로 드러납니다. 있는 그대로를 알고 볼 때 열반을 증득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계는 천상으로 올라가는 사다리, 수행의 토대, 열반으로 들어가는 문입니다.재가자라면 오계를 준수하고 부처님 법에 어긋나지.. 2025. 3. 16.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③ 명행족vijjācaraṇasampanno, 8가지 지혜와 15가지 실천이 완벽한 분 (1) 3. 세 번째 덕목 - 명행족vijjācaraṇasampanno 1.So bhagavā itipi Vijjācaraṇasampanno.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지혜와 실천이 완벽한 분이시다. 윗자짜라나삼빤노는 '지혜와 실천이 완벽한 분'을 뜻한다.이 단어는 윗자, 짜라나, 삼빤노로 이루어져 있다. Vijjā는 '지식, 지혜'를 뜻한다.Vijjā의 번역어 '명지(明知)'와 관련하여, 필자는 이 번역이 다소 헷갈리기 쉬운 번역이라고 생각한다. '명지'의 단어 그대로 뜻은 '밝은 지혜'다. 그러나 빠알리어 vijjā, 그리고 그 반대말인 avijjā는 사실 '밝음'이나 '어두움'이라는 뜻이 없다.단어의 어근부터 살펴보자. Vijjā의 어근은 √vid(알다, 깨닫다, to know)다. 이것이 지식, 학문, .. 2025. 3. 7. 보시dāna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보시는 왜 해야 합니까?10가지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에서 보시는 첫 번째로 소개됩니다.업의 작용에 따라 우리는 과거에 빼앗았기 때문에 오늘 빼앗깁니다. 마찬가지로 과거에 베풀었기 때문에 오늘 풍족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 베풀기 때문에 현생과 내생에 풍족할 것입니다. 이것이 업과 과보를 이해하는 지혜kammassakatā-ñāṇa입니다.보시와 같은 공덕행은 인과의 법칙에 따라 망갈라mangala라는 최고의 축복, 길상의 결과를 줍니다. 공덕행을 통해 여러 상서롭고 좋은 과보들, 행운들이 생깁니다.공덕이 충만할 때, 우리에겐 금생과 내생의 안정적인 의지처가 생깁니다. 이 의지처를 토대로 우리는 금생의 이익, 내생의 이익, 궁극적인 이익을 편안한 상태에서 추구할 수 있습니다... 2025. 3. 3.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② 정등각자sammāsambuddha이신 이유 3가지 2. 두 번째 덕목 - 정등각자sammāsambuddha 1.So bhagavā itipi Sammāsambuddho.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정등각자이시다. 삼마삼붓다는 어떤 뜻인가?'바르게sammā 스스로sāmaṁ 깨달으신 분buddha'이라는 뜻이다. 3가지 이유로 삼마삼붓다이시다.사성제Cattāri Ariya-saccāni를 바르게 깨달으셨다.일체지Sabbaññutā-ñāṇa를 바르게 깨달으셨다.이 두 가지를 스승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sāmaṁ 깨달으셨다.Sammā sāmañca sabbadhammānaṃ buddhattā pana sammāsambuddho바르게 스스로 모든 법들을 깨달았기 때문에 삼마삼붓다이시다. 참고로 한자어 번역인 정등각자는 중간 글자 '삼'의 어근을 청정도론이 말하.. 2025. 2. 25. 불자가 해야 하는 행위의 전부,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에 대한 간단한 설명 불자의 목적은이번 생에 이익을 얻고,다음 생에도 이익을 얻으며,궁극적으로는 이 윤회를 끝내는 이익을 얻는 것입니다.이를 위해 부처님은 공덕이 되는 행위를 매 순간 쌓아나갈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공덕행 토대는 간단하게 3가지, 자세하게 10가지입니다.이것들 외에 불자가 행해야 할 행위는 없습니다. 1. 공덕행토대Puññakiriyavatthu의 어원Puñña (뿐냐)뜻: 공덕, 복덕, 선행어원: puṇāti (깨끗하게 하다, 정화하다)에서 유래의미적으로는 업(kamma) 중에서 선한 행위를 의미하며, 업의 결과로 좋은 과보를 가져오는 행위를 포함합니다.Kiriyā (끼리야)뜻: 행위, 실천, 행동어원: karoti (행하다, 만들다)에서 파생일반적으로 '수행(practice)' 또는 '행동(action).. 2025. 2. 23.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① 아라한arahanta이신 이유 5가지 1. 첫 번째 덕목 - 아라한arahanta So bhagavā itipi arahaṁ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아라한이시다. 여기서 '이띠삐'는 대명사와 같다.'이띠삐'의 자리에 아래 5가지 이유가 각각 들어갈 수 있다.Ārakattā arahaṃ: (나쁜 습관, 번뇌로부터) 멀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Arīnaṃ hatattāpi arahaṃ: (번뇌라는) 적들을 죽였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Arānaṃ hatattāpi arahaṃ: (윤회라는 바퀴의) 바퀴살들을 부수어 버렸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Arahati arahaṃ: (모든 예경과 공양을)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A rahati arahaṃ: (악행이라는) 숨길 것이 없으시기 때문에 아라한이시다.'소 바가와 이띠삐 아라항', 이.. 2025. 2. 9. 부처님의 9가지 덕목과 붓다눗사띠 0. 부처님의 9가지 덕목4가지 종류의 붓다가 있다.Suta-buddha(문불, 聞佛)수따(suta): 들음, 배움, 지식깨닫지 못한 범부이지만, 이론적으로 사성제가 무엇인지 아는 분가장 낮게는 사성제라는 단어 뜻 정도만이라도 배워서 알고 있는 일반 불자, 가장 높게는 아직 깨닫지 못한 삼장법사를 뜻한다.Catu-sacca-buddha(사제불, 四諦佛)삽반뉴 붓다의 제자이기 때문에 사와까(sāvaka제자) 붓다라고도 부른다. 즉, 스승을 통해 깨달은 분이다.사성제(사제, 네 가지 진리)를 배우고 → 배운대로 따라 실천하여 → 깨달음을 얻어 번뇌가 다한 아라한이다. 석가모니 붓다의 가르침이 소실되지 않고 아직 남아 있는 요즘 시대에 깨달았다면 그들은 모두 석가모니 붓다의 제자가 된다.Pacceka-budd.. 2025. 2. 5. ‘사라나가마나(귀의)’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에 귀의하는가? 불자가 아닌 이들이 불자가 되려면 제일 먼저 귀의saraṇagamana를 해야 합니다.이미 불자인 이들이 오계나 팔계 등의 계를 수지할 때, 또한 비구나 비구니로 출가할 때도 마찬가지로 삼귀의를 먼저 해야 합니다.법회도 삼귀의를 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그래서 삼귀의는 부처님 교법의 제일 처음이자 입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먼저 삼귀의tisaraṇagamana란 세 가지ti 귀의처saraṇa에 귀의하는 것saraṇagamana을 말합니다. 여기서 세 가지 귀의처란 바로 부처님과 가르침과 승가라는 세 가지ti 보배ratana, 즉 삼보tiratana를 뜻합니다...삼보는 현생의 행복은 물론이고 내생의 행복까지, 또한 세속적인 행복뿐만 아니라 출세간의 행복까지 생겨나게 하기 때문입니다... 끝없는 윤회에서 .. 2024. 11. 30. 매일 선업을 차근차근 쌓아나가는 ‘불자의 일과’ 불교 신도, 즉 불자의 한 사람이라면 매일 부처님의 가르침과 관련된 여러 행위를 하나의 의무로서 실천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선업들을 직접 실천하고 노력해야 합니다...① 예불② 자애③ 회향④ 보시⑤ 교법의 유지와 선양⑥ 삼특상의 숙고와 관찰'예불'이란 부처님, 가르침, 승가라는 삼보의 덕목을 새기고 독송하면서 정성스럽게 예경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재가자라면 삼귀의와 오계를 먼저 수지하고 나서 예불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자애'란 모든 중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 보내는 것, 닦는 것입니다.'회향'이란 자신이 행한 보시, 지계, 수행 등 선업의 공덕몫을 자신과 동일하게 다른 많은 중생에게 '고르게, 고르게, 고르게' 나누어 주는 것입니다.. 2024. 11. 26. 6가지 포살 방법과 3가지 포살일 1. 포살은 어떻게 지키는가?- 아리야 우포사타 : 부처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특별한 자질을 기억하면서 마음의 번뇌를 정화한 뒤에 준수하는 포살을 성자의 포살, 즉 아리야 우포사타라고 한다. 성자의 포살은 다시 6가지로 나뉜다.① 브라흐마 우포사타 : 고상한 자(부처님)의 포살. 8가지 계율을 받아 지니고, 아라한과 같은 부처님의 특별한 호칭을 되풀이하여 기억하는 것을 통해 준수하는 포살이다.② 담마 우포사타 : 법의 포살. 8가지 계율을 받아 지니고, 법의 특별한 자질을 되풀이하여 기억하는 것을 통해 준수하는 포살이다.③ 상가 우포사타 : 승단의 포살. 8가지 계율을 받아 지니고, 승단의 특별한 자질을 되풀이하여 기억하는 것을 통해 준수하는 포살이다.④ 실라 우포사타 : 계율의 포살. 8가지 계율을 .. 2024. 11. 21. 이전 1 2 3 4 ··· 2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