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열반279 빳타나 Jhāna paccaya(선정 조건)에 대한 이해 17. Jhāna paccaya(선정 조건) Jhāna paccayo (선정 조건) = 집중하여 보고 있음. ·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이와 같다. · 산의 정상에서 아래 전망을 넓게 볼 수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더 넓게 볼 수 있다. · ...망원경으로 보는 것처럼 [먼 곳도] 가깝게, 자세히 볼 수 있다. · 다섯 가지 선정, 선업 선정 등이 아주 집중하여 대상을 보면 바른 봄(견해)을 얻을 수 있고, 자세한 봄을 얻을 수 있고, 열반까지 향해 갈 수 있다. · "높은 곳에 올라 아래 전체를 보듯이 대상을 다 알 수 있고 볼 수 있음" "선정 조건이란 - 선정의 요소들은 선정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 선정 때문에 생겨난 물질들에게 선정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우 실라 사야도, '분명한 앎',.. 2024. 4. 3. 재가자는 금생, 내생, 출세간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1. 재가자는 금생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디가자누 경 (A8:54) Dīghajāṇu-sutta 1. ..."세존이시여, 저희 재가자들은 감각적 욕망을 즐기고 자식들이 북적거리는 집에서 살고 까시에서 산출된 전단향을 사용하고 화환과 향과 연고를 즐겨 사용하고 금은을 향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이러한 저희들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고 내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는 법을 설해주소서." 2.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 사는 자여¹⁶²⁾, 네 가지 법은 선남자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준다. 무엇이 넷인가?" ¹⁶²⁾ "...왜냐하면 그의 선조가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가문의 남자들은 그렇게 불렸다." (AA.iv.137~138)... 꼴리야족의 남자들은 모두 이렇게 불리었다고 한다.. 2024. 3. 20. 재가자의 금생의 행복 네 가지는 무엇인가? (4) 「빚 없음 경」 (A4:62) 본경은 세존께서 급고독 장자에게 하신 말씀을 담은 경으로 재가자가 바르게 누리는 네 가지 행복을 들고 계신다. 그것은 소유하는 행복, 재물을 누리는 행복, 빚 없는 행복, 비난받을 일이 없는 행복이다. 열정적인 노력으로 얻었고 팔의 힘으로 모았고 땀으로 획득했으며 법에 따라서 얻은 재물을 소유하는 행복을 세존께서는 재가자들이 누리는 첫 번째 행복으로 들고 계신다. 두 번째의 재물을 누리는 행복이란 이렇게 자신의 노력으로 바르게 얻은 재물로 그것을 즐기고 공덕을 짓는 것을 말한다. 재물은 바르게 사용할 때, 특히 이러한 재물로 공덕을 지을 때 그것이 행복이 된다. 그렇지 못한 재물은 화의 근본이 될 뿐이다. 재가자가 누리는 세 번째 행복은 빚 없는 행복이다. 경제적인 .. 2024. 3. 2. 재가자가 재산을 보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디가자누 경 (A8:54) Dīghajāṇu-sutta ...8.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 사는 자여, 재물이 생기면 네 가지 파멸의 통로¹⁶⁴⁾가 있나니, 여자에 빠지고, 술에 빠지고, 노름에 빠지고, 나쁜 친구와 나쁜 동료와 나쁜 벗을 사귀는 것이다.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 사는 자여, 예를 들면 네 개의 수로와 네 개의 배수로를 가진 큰 못이 있는데 사람이 수로는 막아버리고 배수로를 열어 두었는데 마침 비까지도 적절하게 내리지 않는다면, 그 큰 못은 물이 말라버리게 될 것이고 물이 불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와 같이 재물이 생기면 네 가지 파멸의 통로가 있나니, 여자에 빠지고, 술에 빠지고, 노름에 빠지고, 나쁜 친구와 나쁜 동료와 나쁜 벗을 사귀는 것이다." ¹⁶⁴⁾ '파멸의 통로'는 apāya-.. 2024. 2. 28. 재가자의 바른 지출은 무엇인가? (3) 「합리적인 행위 경」 (A4:61) ...이렇게 말씀하신 뒤 재가자들은 자신의 노력으로 법답게 얻은 재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실천해서 바른 업을 지어야 한다고 가르치신다. 첫째는 자신과 부모와 아들과 아내와 하인과 일꾼들과 친구와 친척들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고 바른 행복을 보호하는 것이다. 즉 자기 식솔들을 잘 부양해야 한다는 말씀이다. 둘째는 이러한 재물을 재난, 즉 불과 물과 왕과 도둑과 적과 나쁜 마음을 가진 상속인 등의 여러 가지 재난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재물을 잘 보호해야 한다는 말씀이다. 셋째는 친지에게 하는 헌공, 손님에게 하는 헌공, 조상신들에게 하는 헌공, 왕에게 하는 헌공(세금), 신에게 하는 헌공의 다섯 가지 헌공을 해야 한다. 사회적인 의무를 위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2024. 2. 25. “자기가 올린 공양 공덕을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주면 나누어 준 숫자만큼 공덕이 늘어난다.” 천안제일 아누룻다 존자의 과거생은 안나바라라는 가난한 하인이었다. 안나바라와 안나바라의 주인인 수마나 재정관, 우빠릿타 벽지불의 일화를 보면 회향의 원리와 이로움을 알 수 있다. 어느 날 우빠릿타라는 벽지불이 멸진정에서 일어나 생각했다. '오늘은 누구에게 공덕을 쌓을 기회를 줄까?' 이때 안나바라의 영상이 눈에 들어왔다. '오늘은 안나바라에게 기회를 주어야겠다.' ...'이제까지 내가 공양을 올리고 싶을 때 올릴 음식이 없었고, 올릴 음식이 있을 땐 받을 분이 없었다. 그러나 오늘은 공양을 받을 분도 있고 올릴 음식도 있다. 나는 정말 운이 좋은 사람이다.' 그는 집으로 가서 발우에 음식을 가득 채워서 돌아와 벽지불에게 올리고 서원을 세웠다. "존자님, 이 보시 공덕으로 가난한 삶을 살지 않고 '없다'라.. 2024. 2. 25. 선업을 행한 후에 공덕을 여러 존재에게 나누어주는 회향문 1. 회향pattidāna은 선업을 행한 뒤 그 공덕몫patti을 다른 이에게 나누어 주는 것dāna이다. 일반적으로는 회향이 가능한 선업은 보시 선업이라고 말한다. 지계와 수행 공덕은 직접 행하여 지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계와 수행의 선업도 회향이 가능하다는 소수의견도 있다. 「합송경」 의 복주서(DAṬ.iii.206)나 『자따까』 의 깟사빠 부처님 당시 수다원 거사와 범부 이발사의 이야기(J190)에서는 보시 외에도 지계 공덕, 수행 공덕을 회향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2. 보시 등 선업 공덕을 짓고 난 후 그 공덕몫을 어떻게 여러 존재들에게 회향해야 할까? 회향과 회향기뻐함pattānumodana, 함께기뻐함muditā을 공부하다 보면 여러 가지 형태의 회향을 알 수 있다. 자식의 의무 중에는.. 2024. 2. 24. 공덕을 짓지 않아 축생으로 태어났지만, 오계를 지켜 천상에 태어날 수 있었던 수자따 1. 삼십삼천 천상의 왕 삭까는 전생에 인간이었을 적 마가 청년으로 불리었다. 마가 청년에게는 네 명의 부인이 있었는데 수난다, 수찟따, 수담마, 수자따였다. 마가 청년과 32명의 동료는 마을에 선업을 베푸는 장소인 공회당을 지었는데 평생에 걸친 선업행으로 삼십삼천의 주인으로 태어난다. 수담마는 공회당을 지을 때 첨탑을 지었다. 이 공덕으로 그녀가 삼십삼천에 태어날 때 '수담마'라 불리는 법당이 동시에 생겨났다. 천상에서 법문이 이루어진다는 수담마 법당이 이 곳이다. 수난다는 공회당을 지을 때 손님들이 목욕할 수 있는 연못을 만들었다. 이 공덕으로 그녀가 삼십삼천에 태어날 때 넓이가 500 요자나인 연못이 생겨났다. 수찟따는 공회당을 지을 때 손님들이 떠날 때 옷에 꽃을 꽂을 수 있도록 정원을 만들었다... 2024. 2. 23. “그는 인간일 때 일곱 가지 공덕을 실천하여 삭까 천왕의 지위를 얻었다.” 『담마빠다』의 30번 게송은 「공덕을 지어 도리천의 왕이 된 삭까」(Dhp.30)이다. 삭까(Sakka)는 제석천왕, 도리천왕, 삼십삼천왕을 이르는 빠알리어이며, 그는 전생에 '마가'라는 이름의 청년이었다. 그는 인간일 때 일곱 가지 공덕을 실천해 제석천왕이되었고, 제석천왕일 때에는 부처님께 열네 가지 질문을 드리고 부처님의 대답을 듣고 나서 수다원이 되었다. (D21, 제석문경, 삭까왕문경, Sakkapañha Sutta, 삭까가 질문pañha을 드린 경) "... 삭까 천왕은 과거생에 인간이었을 때 일곱 가지 서원을 세우고 지켜서 삭까 천왕의 지위를 얻었다. 일곱 가지 서원이란 무엇인가? ① 살아있는 한 부모를 봉양하리라. ② 살아있는 한 연장자를 공경하리라. ③ 살아있는 한 부드럽게 말하리라. ④ .. 2024. 2. 21. 재가자의 바른 수입(바른 생계)은 무엇인가? 장사 경(A5:177) Vaṇijjā-sutta 1. "비구들이여, 신도는 다섯 가지 장사를 해서는 안된다. 무엇이 다섯인가?" 2. "무기 장사, 사람 장사, 동물 장사, 술장사, 독약 장사다. 비구들이여, 신도는 이러한 다섯 가지 장사를 해서는 안된다."³³⁷⁾ ³³⁷⁾ "'무기 장사(sattha-vaṇijjā)'는 전쟁의 도구를 제조해서 파는 것이다." (AA.iii.303) '사람 장사'로 옮긴 원어는 satta-vaṇijjā인데 문자적으로는 중생 장사이다. 주석서에서 사람을 파는 것(manussa-vikkaya)이라고 설명하고 있어서(Ibid) 이렇게 옮겼다. '동물 장사'로 옮긴 원어는 maṃsa-vaṇijjā인데 문자적으로는 고기 장사라고 직역된다. 주석서는 돼지나 사슴 등을 키워서 파는 것.. 2024. 2. 21. 니까야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으라”는 사분법의 가르침이 있을까? 2024년 1월 14일 초기불전연구원 서경 공부모임 발제 과정에서 오류를 범한 것이 있어 이렇게 알려드립니다. 『디가 니까야』 3권, 「교계 싱갈라 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처님의 사분법의 가르침이 있습니다. "...그와 같이 재물을 모은 뒤 재가자는 자신의 가문을 부양하나니 네 등분으로 재물을 나누어서 그는 [인생의] 친구들을 내치지 않고 돕는다. 첫 번째 몫의 재물은 생활에 사용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몫은 사업하는데 쓰고 네 번째는 저축을 해야 하나니 재난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 각묵스님 옮김, '디가 니까야 제3권' P.325, 초기불전연구원(2005) 여기서 발제문에 적지는 않았지만, 오프라인 공부모임 발표 현장에서 사분법에 대해 제가 추가적인 사족을 말씀드린 것이 있습니다. 「교계 싱갈라.. 2024. 2. 5.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의 네 번째 ‘공경apacāyana’, 다섯 번째 ‘소임veyyāvacca’ 1. 공경 공경apacāyana이란 태생이나 나이, 덕목으로 높은 분에게 공손하게 대하는 것, 예경하는 것, 존중하는 것, 합장하는 것 등을 말합니다. 공경에는 특별공경visesa apacāyana과 일반공경sāmañña apacāyana이 있습니다. 부처님이나 가르침, 승가를 공경하는 것이 특별공경입니다. 왜냐하면 부처님과 가르침, 승가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특별한 덕목을 갖추고 있어서 그렇게 특별한 덕목을 갖춘 대상에 대해 공경하는 것은 수명, 용모, 대중, 행복, 힘을 주는 것을 비롯하여 선처에 태어나게 하는 등의 특별한 결과를 주기 때문입니다(A3:34). 중생중엔 여래으뜸 유위법중 팔정도가 모든법중 열반으뜸 무리중엔 승단으뜸 네가지의 으뜸대해 청정믿음 으뜸가고 으뜸대해 보시한뒤 으뜸가는 공덕증장.. 2024. 1. 27. 이전 1 2 3 4 5 6 7 ··· 2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