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열반/빠알리어35

인칭 / 지시 / 관계 / 의문 대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32과) 1. 앞서 31과에서 1인칭 대명사(표 26)와 2인칭 대명사(표 27) 격변화를 공부했다. 32과에서는 아래 주제들을 배운다. 3인칭 대명사(=지시대명사, 표 28) 여러 가지 지시대명사(표 29, 30, 31, 34) 관계대명사(표 32) 의문대명사(표 33)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는 뒤의 명사와 성을 맞춰 쓰이며, 그에 따라 세 가지 성을 갖는다. 남성, 중성, 여성 대명사들은 각각의 성에 맞게 격변화 규칙을 따르며, 다른 명사와 연결될 때 형용사(수식어)가 된다. Kiṃ dukkhaṃ hoti? → 중성명사 dukkha에 따라 중성 의문대명사 kiṃ이 쓰였다. Ko samudayo hoti? → 남성명사 samudaya에 따라 남성 의문대명사 ko가 쓰였다. 2. 표 28은 sa/ta.. 2023. 7. 1.
1인칭, 2인칭 대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31과) 1. 대명사는 인칭, 지시, 관계, 의문대명사가 있고 대명사적 형용사들이 있다. 인칭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지시대명사: 이, 그, 저 관계대명사: 어떤 의문대명사: 누구, 무엇, 왜 2. 1인칭 대명사는 단수의 경우 ma-로 시작하고, 복수의 경우 amh-로 시작한다. 단수 복수 주격 Ahaṃ mayaṃ, amhe 목적격 Maṃ, (mamaṃ) amhe, amhākaṃ, no 도구격 mayā, me amhehi, no 탈격 mayā amhehi 여격 mama, mayhaṃ, (mamaṃ), me amhaṃ, amhākaṃ, no 소유격 mama, mayhaṃ, (mamaṃ), me amhaṃ, amhākaṃ, no 처소격 Mayi amhesu 1인칭 대명사의 단축형으로는 me, no 가 있다... 2023. 6. 27.
-vant / -mant로 끝나는 형용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30과) 1. -vant와 -mant는 '-를 가진, -를 지닌'의 뜻이다. 명사 격변화 표는 21번 표에 해당한다. 앞서 공부했듯이 빠알리어에서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모두가 격변화를 한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격변화한다. -vant / -mant 로 끝나는 형용사는 성에 따라 격변화 형태가 다르다. (남성) Guṇavant: 덕이 있는 단수 복수 주격 Guṇavā, Guṇavanto Guṇavanto, Guṇavantā 호격 Guṇavā, Guṇava Guṇavanta, Guṇavanto, Guṇavantā 목적격 Guṇavantaṃ Guṇavanto, Guṇavante 도구격 Guṇavatā, Guṇavantena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탈격 Guṇavat.. 2023. 6. 25.
-i / -u로 끝나는 중성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29과) 1. 중성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의 격변화 형태가 같다. 그리고 도구격 이하는 같은 ending의 남성명사 격변화와 같다. 이 규칙은 a, i, u로 끝나는 중성명사 모두에 적용된다. 중성명사의 복수 격변화 중 주격, 호격, 목적격은 모두 장음으로 끝나거나 장음+ni 의 형태가 된다. a로 끝나면 rupā 혹은 rupāni, i로 끝나면 aṭṭhī 혹은 aṭṭhīni, u로 끝나면 cakkhū 혹은 cakkhūni가 되는 식이다. Aṭṭhi: 뼈, 씨 -i로 끝나는 중성명사 격변화 중 자주 쓰이는 경우는 아래에서 주격 단수 aṭṭhi, 주격 복수 aṭṭīni 이다. 단수 복수 주격 Aṭṭhi, Aṭṭhiṃ Aṭṭhī, Aṭṭhīni 호격 Aṭṭhi Aṭṭhī, Aṭṭhīni 목적격 Aṭṭhi, Aṭṭhiṃ .. 2023. 6. 24.
빠알리어 격변화 - 끝이 -u / -ar로 끝나는 남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8과) 1. -u와 -ar로 끝나는 남성명사라고 했지만, 사실상 -ar로 끝나는 남성명사라고 인지하면 된다고 한다. -ar이 붙으면 '~하는 자'라는 뜻이 된다. 격변화 예시로 든 satthu / satthar 는 '스승, 훈계하는 자, 가르치는 자'의 뜻이며 보통 부처님을 지칭하는 단어라고 한다. '가르치다'는 뜻의 sās 에 tar 가 붙어 satthar 가 되는 격이다. 별도로 ācariya는 일반적인 스승의 뜻을 지닌다. 아래 격변화 중 주격 단수 satthā 와 여격 satthu 가 주로 쓰인다. 단수 복수 주격 Satthā satthāro 호격 satthā, sattha satthāro 목적격 Satthāraṃ satthāro 도구격 satthārā Satthārehi, satthūhi 탈격 satt.. 2023. 6. 23.
빠알리어 격변화 - 끝이 -u / -ū로 끝나는 남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7과) 1. Garu는 '스승'이라는 뜻이다. 형용사로 쓰이면 '무거운'의 뜻이다. 단수 복수 주격 Garu garū, garavo 호격 garu garū, garavo 목적격 garuṃ garū, garavo 도구격 garunā garūhi (garūbhi) 탈격 garunā garūhi (garūbhi) 여격 garuno, garussa garūnaṃ 소유격 garuno, garussa garūnaṃ 처소격 garumhi, garusmiṃ garūsu 27과에서 나오는 -u로 끝나는 남성명사 중 기억할만한 단어는 다음과 같다. Bhikkhu: 비구 Bandhu: 친척 Bahu: 많은 / bāhu: 팔 Veḷu: 대나무 → veḷuvana: 죽림정사 (vana: 숲) Sattu: 적 2. -ū로 끝나는 남성명.. 2023. 6. 22.
빠알리어 격변화 - 끝이 -ī로 끝나는 남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6과) 1. -ī로 끝나는 명사는 여성명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남성명사도 있다. 명사에 -in(-를 가진)을 붙이면 형용사가 되는데, 이와 같은 원리에서 만들어지는 명사로 볼 수 있다고 한다. Hattha: 손, 코 → hatthin: 손을 가진, 코를 가진 → hatthī: 코끼리 Pakkha: 날개 → pakkhin: 날개를 가진 → pakkhī: 새 다만 -ī로 끝나는 남성명사 격변화는 경전에서 주로 주격만 쓰인다고 하니, 주격 단수와 복수 형태만 기억해놔도 좋다고 한다. 단수 복수 주격 Pakkhī pakkhī / pakkhino 호격 Pakkhī pakkhī / pakkhino 목적격 pakkhinaṃ / pakkhiṃ pakkhī / pakkhino 도구격 pakkinā pakkhīhi (pakkh.. 2023. 6. 20.
빠알리어 격변화 - 끝이 -i로 끝나는 남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5과) 1. -i / -u 로 끝나는 남성명사, 중성명사는 격변화 시 n을 추가하여 격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 aggi(불, 아그니 신)의 격변화 예시에서는 도구격 / 탈격 / 여격 / 소유격 단수 격변화가 이에 해당한다. 단수 복수 주격 Aggi aggī, aggayo, aggiyo 호격 aggi aggī, aggayo 목적격 aggiṃ aggī, aggayo 도구격 agginā aggīhi, aggībhi 탈격 agginā, aggimhā, aggismā aggīhi, aggībhi 여격 aggino, aggissa aggīnaṃ 소유격 aggino, aggissa aggīnaṃ 처소격 aggimhi, aggismiṃ aggīsu 2. 25과에서 기억할만한 -i ending 남성명사는 다음과 같다. Mu.. 2023. 6. 14.
빠알리어 여성명사 격변화 - 끝이 -u로 끝나는 여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4과) 1. -u로 끝나는 여성명사 역시 다른 여성명사들과 격변화 패턴이 비슷하다. 목적격 단수에 -ṃ이 붙는다. 도구격부터 처소격까지 단수는 끝이 -uyā로 어미의 형태가 똑같다. 처소격 단수는 -uyaṃ도 가능하다. 여기서 장음 ā는 뒤의 -ṃ으로 인해 단음화 된다. 주격부터 목적격까지 복수는 -ū 혹은 -uyo로 끝난다. 주격 복수는 예외적으로 -uvo로 끝나기도 한다. 도구격, 탈격 복수는 -ūhi, -ūbhi로 끝난다. 여격, 소유격 복수는 -ūnaṃ으로 '장음+naṃ'의 형태이다. 처소격 복수는 -ūsu로 끝난다. 아래 격변화 예시로 쓰인 dhenu는 '소'라는 뜻의 여성명사이다. 단수 복수 주격 dhenu dhenū, dhenuyo, dhenuvo 호격 dhenu dhenū, dhenuyo 목적격 .. 2023. 6. 10.
빠알리어 사역형 - 동사 어근이나 어간에 -e/-aya/-āpe/-āpay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23과) 1. 사역형은 '~하게 하다, ~시키다, ~에게 ~을 시키다'의 뜻으로 해석된다. 사전에서 사역형 단어는 caus. 로 표기되며, causative의 뜻이다. 사역동사는 어근이나 어간에 -e / -aya / -āpe / -āpaya를 첨가한다. 빠알리어에서는 앞서 말했듯 e와 aya가 같으므로, 사실상 -e / -āpe 가 붙는 것이라 봐도 될 것이다. 때로는 사역형 변화 과정에서 어간의 모음이 장음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Pacati → pāceti / pācayati / pacāpeti / pacāpayati bhuñjati → bhojeti / bhojāpeti coreti → corāpeti / corāpayati kināti → kiṇāpeti / kiṇāpayati karoti → kāreti .. 2023. 6. 9.
빠알리어 미래수동분사 - 동사 어근이나 어간에 -(i/e)tabba/-anīy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22과) 1. 미래수동분사는 어근이나 어간에 -itabba / -etabba / -anīya를 붙인다. 이중 -eti 동사는 etabba가 되고, -ati / -āti / -oti 동사는 itabba가 된다. 분사이므로 수식하는 단어에 따라 끝 글자 a가 격변화하며, 여성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끝 글자는 장음 ā가 된다. 뜻으로는 '~해야 한다. ~해져야 한다. ~해질 수 있다. ~해져야 할'으로 해석된다. Pacati → pacitabba / pacanīya bhuñjati → bhuñjitabba / bhojanīya karoti → kātabba / karaṇīya 2. 문장에서는 크게 2가지 경우로 쓰인다. 명사를 수식함으로써 '~해야 할, ~해져야 할'의 뜻으로 쓰인다. 서술어로 쓰임으로써 '~해야 한다... 2023. 6. 8.
빠알리어 현재분사 여성형 - 동사 어간에 -ntī/-mānā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21과) 1. 11과에서 남성, 중성 현재분사에 대해서 배웠다. 빠알리어 현재분사 - 동사 어간에 -ta/-nta/-mān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1과) 1. 빠알리 현재분사의 뜻은 "-하면서, -하고 있는"이다. 동사 어간에 -ta / -nta / -māna 를 붙인다. 분사는 형용사이다. 빠알리어는 한글과 달리 형용사도 격변화를 한다. 현재분사는 형용사이기 때문 rihankim.tistory.com 잠깐 복습해보자면 빠알리 현재분사의 뜻은 "-하면서, -하고 있는"이다. 동사 어간에 -ta / -nta / -māna 를 붙인다. -ta / -nta / -māna의 끝 글자 a의 격변화는 명사 격변화 형태를 따른다. 빠알리어는 한글과 달리 명사, 대명사와 같이 형용사도 격변화를 한다. 분사는 형용사이다.. 2023. 6.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