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반/빠알리어

-i / -u로 끝나는 중성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29과)

by Rihan 2023. 6. 24.
728x90

1.

중성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의 격변화 형태가 같다. 그리고 도구격 이하는 같은 ending의 남성명사 격변화와 같다.

이 규칙은 a, i, u로 끝나는 중성명사 모두에 적용된다.

 

중성명사의 복수 격변화 중 주격, 호격, 목적격은 모두 장음으로 끝나거나 장음+ni 의 형태가 된다.

a로 끝나면 rupā 혹은 rupāni, i로 끝나면 aṭṭhī 혹은 aṭṭhīni, u로 끝나면 cakkhū 혹은 cakkhūni가 되는 식이다.

 

Aṭṭhi: 뼈, 씨

-i로 끝나는 중성명사 격변화 중 자주 쓰이는 경우는 아래에서 주격 단수 aṭṭhi, 주격 복수 aṭṭīni 이다.

  단수 복수
주격 Aṭṭhi, Aṭṭhiṃ Aṭṭhī, Aṭṭhīni
호격 Aṭṭhi Aṭṭhī, Aṭṭhīni
목적격 Aṭṭhi, Aṭṭhiṃ Aṭṭhī, Aṭṭhīni
도구격 Aṭṭhinā Aṭṭhīhi, Aṭṭhībhi
탈격 Aṭṭhinā Aṭṭhīhi, Aṭṭhībhi
여격 Aṭṭhino, Aṭṭhissa Aṭṭhīnaṃ
소유격 Aṭṭhino, Aṭṭhissa Aṭṭhīnaṃ
처소격 Aṭṭhini, Aṭṭhimhi, Aṭṭhismiṃ Aṭṭhīsu

 

-i로 끝나는 중성명사의 격변화는 명사 격변화 표로는 5번에 해당하고,

도구격 이하의 격변화는 4번의 -i로 끝나는 남성명사 격변화를 참고하면 된다.

 

-i로 끝나는 중성명사 중 기억할만한 단어는 다음과 같다.

 

  • Vāri: 물
  • Akkhi: 눈

 

 

2.

-u로 끝나는 중성명사의 격변화는 명사 격변화 표로는 10번에 해당하고,

도구격 이하의 격변화는 9번의 -u로 끝나는 남성명사 격변화를 참고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앞서 공부했었던 -a로 끝나는 중성명사의 격변화는 명사 격변화 표로는 2번에 해당하고,

도구격 이하의 격변화는 1번의 -a로 끝나는 남성명사 격변화를 참고하면 된다.

 

Cakkhu: 눈

-u로 끝나는 중성명사 격변화 중 자주 쓰이는 경우는 아래에서 주격 단수 cakkhu, cakkhuṃ, 주격 복수 cakkhūni 이다.

  단수 복수
주격 Cakkhu, Cakkhuṃ  Cakkhū, Cakkhūni
호격 Cakkhu Cakkhū, Cakkhūni
목적격 Cakkhu, cakkhuṃ  Cakkhū, Cakkhūni
도구격 Cakkhunā cakkhūhi, cakkhūbhi
탈격 Cakkhunā cakkhūhi, cakkhūbhi
여격 Cakkhuno, cakkhussa cakkhūnaṃ
소유격 Cakkhuno, cakkhussa cakkhūnaṃ
처소격 Cakkhumhi, cakkhusmiṃ cakkhūsu

 

-u로 끝나는 중성명사 중 기억할 만한 단어는 다음과 같다.

 

  • Madhu: 꿀
  • Dāru: 장작
  • Vatthu: 일, 사건, 근거, 토대 → 아비담마에서 물질적 토대 여섯 가지(눈, 귀, 코, 혀, 몸, 심장토대)를 말할 때 쓰는 그 토대이다. 논장 칠론 중 Kathāvatthu(논사론)는 논하다의 뜻인 kathā에 이 vatthu가 쓰인다.

 

29과에서 기억할만한 동사는 다음과 같다.

 

  • Anukapati: 연민하다 → anukapā: 연민
  • Pabbajati: 출가하다 → pabbajjā: 출가
  • Anugacchati: 따르다, 따라가다
  • Pavatteti: 진행하다, 굴리다 (pa 앞으로 + vattati 굴리다)
  • vibhajati: 분배하다, 분석하다 → vi(떨어져, apart) + bhaj(나누다, to divide) → 논장 7론 중 vibhaṅga(분별론, 법의 분석)

 

 

3.

Gehaṃ pavisantaṃ ahiṃ disvā kaññā bhāyitvā assūni pavattentī rodituṃ ārabhi.

집을 들어가고 있는 뱀을 보고서 소녀가 두려워하고서 눈물들을 흘리면서 울기 시작했다.

 

Dīpinā hatāya gāviyā aṭṭhīni bhūmiyaṃ vippakiṇṇāni honti.

표범에 의해서 죽은 암소의 뼈들이 땅에 흩어져 있다.

 

Nadiyā vārinā vatthāni dhovanto pitā nahāpetuṃ puttaṃ pakkosi.

강의 물로 옷들을 씻고 있는 아버지가 목욕시키기 위해서 아들을 불렀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