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 지속의 역할을 하는 마음은 3가지가 있다.
경지(bhūmi)와 종류(jāti)에 따라서 89/121가지로 분류되는 마음은 대상을 안다는 특징으로서는 하나이지만 다시 이렇게 14가지 역할을 한다. §8. 역할의 분석 역할의 길라잡이에서 역할은 14가지가 있다. 즉 재생연결, 존재지속, 전향, 봄, 들음, 냄새 맡음, 맛봄, 닿음, 받아들임, 조사, 결정, 속행, 여운, 죽음이다. 단계에 따라 분류하면 재생연결, 존재지속, 전향, 다섯가지 알음알이 등의 10가지가 있다고 알아야 한다. 왜 ‘단계’로 볼 때 5가지를 하나로 묶을까?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은 동시에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5개 중 하나만 일어난다. 보고 듣고를 동시에 할 수 없다. 마음은 한 번에 한 대상을 안다. 마음의 역할은 14가지이고, 단계로는 10가지이다. 그리고..
2023. 2. 10.
해로운 마음은 1개나 2개의 원인을 가진다. 아름다운 마음은 2개나 3개의 원인을 가진다.
§5. 원인들의 분석 원인의 길라잡이에서 원인들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 탐욕 없음, 성냄 없음, 어리석음 없음의 여섯 가지가 있다. 1. 원인의 길라잡이(hetu-saṅgaha): 이미 제 1장에서 언급했듯이 아비담마에서 말하는 원인(hetu)은 모두 여섯가지로서 탐, 진, 치와 불탐, 부진, 불치이다. 그래서 아비담마에서 원인(hetu)이라는 말은 모두 유익함[선]과 해로움[불선]의 뿌리, 즉 근본원인을 말한다. 그래서 주석서는 “[이들은] 뿌리(mūla)라는 뜻에서 원인이라 불리는 법들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일반적인 의미의 원인과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이 가운데 특히 탐욕과 어리석음과 이들 각각의 동의어인 갈애와 무명은 생사윤회의 근본원인(vaṭṭa-mūla)으로 주석서들..
202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