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열반/초기불교91

보시dāna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보시는 왜 해야 합니까?10가지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에서 보시는 첫 번째로 소개됩니다.업의 작용에 따라 우리는 과거에 빼앗았기 때문에 오늘 빼앗깁니다. 마찬가지로 과거에 베풀었기 때문에 오늘 풍족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 베풀기 때문에 현생과 내생에 풍족할 것입니다. 이것이 업과 과보를 이해하는 지혜kammassakatā-ñāṇa입니다.보시와 같은 공덕행은 인과의 법칙에 따라 망갈라mangala라는 최고의 축복, 길상의 결과를 줍니다. 공덕행을 통해 여러 상서롭고 좋은 과보들, 행운들이 생깁니다.공덕이 충만할 때, 우리에겐 금생과 내생의 안정적인 의지처가 생깁니다. 이 의지처를 토대로 우리는 금생의 이익, 내생의 이익, 궁극적인 이익을 편안한 상태에서 추구할 수 있습니다... 2025. 3. 3.
불자가 해야 하는 행위의 전부,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에 대한 간단한 설명 불자의 목적은이번 생에 이익을 얻고,다음 생에도 이익을 얻으며,궁극적으로는 이 윤회를 끝내는 이익을 얻는 것입니다.이를 위해 부처님은 공덕이 되는 행위를 매 순간 쌓아나갈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공덕행 토대는 간단하게 3가지, 자세하게 10가지입니다.이것들 외에 불자가 행해야 할 행위는 없습니다. 1. 공덕행토대Puññakiriyavatthu의 어원Puñña (뿐냐)뜻: 공덕, 복덕, 선행어원: puṇāti (깨끗하게 하다, 정화하다)에서 유래의미적으로는 업(kamma) 중에서 선한 행위를 의미하며, 업의 결과로 좋은 과보를 가져오는 행위를 포함합니다.Kiriyā (끼리야)뜻: 행위, 실천, 행동어원: karoti (행하다, 만들다)에서 파생일반적으로 '수행(practice)' 또는 '행동(action).. 2025. 2. 23.
‘사라나가마나(귀의)’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에 귀의하는가? 불자가 아닌 이들이 불자가 되려면 제일 먼저 귀의saraṇagamana를 해야 합니다.이미 불자인 이들이 오계나 팔계 등의 계를 수지할 때, 또한 비구나 비구니로 출가할 때도 마찬가지로 삼귀의를 먼저 해야 합니다.법회도 삼귀의를 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그래서 삼귀의는 부처님 교법의 제일 처음이자 입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먼저 삼귀의tisaraṇagamana란 세 가지ti 귀의처saraṇa에 귀의하는 것saraṇagamana을 말합니다. 여기서 세 가지 귀의처란 바로 부처님과 가르침과 승가라는 세 가지ti 보배ratana, 즉 삼보tiratana를 뜻합니다...삼보는 현생의 행복은 물론이고 내생의 행복까지, 또한 세속적인 행복뿐만 아니라 출세간의 행복까지 생겨나게 하기 때문입니다... 끝없는 윤회에서 .. 2024. 11. 30.
매일 선업을 차근차근 쌓아나가는 ‘불자의 일과’ 불교 신도, 즉 불자의 한 사람이라면 매일 부처님의 가르침과 관련된 여러 행위를 하나의 의무로서 실천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선업들을 직접 실천하고 노력해야 합니다...① 예불② 자애③ 회향④ 보시⑤ 교법의 유지와 선양⑥ 삼특상의 숙고와 관찰'예불'이란 부처님, 가르침, 승가라는 삼보의 덕목을 새기고 독송하면서 정성스럽게 예경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재가자라면 삼귀의와 오계를 먼저 수지하고 나서 예불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자애'란 모든 중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 보내는 것, 닦는 것입니다.'회향'이란 자신이 행한 보시, 지계, 수행 등 선업의 공덕몫을 자신과 동일하게 다른 많은 중생에게 '고르게, 고르게, 고르게' 나누어 주는 것입니다.. 2024. 11. 26.
6가지 포살 방법과 3가지 포살일 1. 포살은 어떻게 지키는가?- 아리야 우포사타 : 부처님 등에 대한 여러 가지 특별한 자질을 기억하면서 마음의 번뇌를 정화한 뒤에 준수하는 포살을 성자의 포살, 즉 아리야 우포사타라고 한다. 성자의 포살은 다시 6가지로 나뉜다.① 브라흐마 우포사타 : 고상한 자(부처님)의 포살. 8가지 계율을 받아 지니고, 아라한과 같은 부처님의 특별한 호칭을 되풀이하여 기억하는 것을 통해 준수하는 포살이다.② 담마 우포사타 : 법의 포살. 8가지 계율을 받아 지니고, 법의 특별한 자질을 되풀이하여 기억하는 것을 통해 준수하는 포살이다.③ 상가 우포사타 : 승단의 포살. 8가지 계율을 받아 지니고, 승단의 특별한 자질을 되풀이하여 기억하는 것을 통해 준수하는 포살이다.④ 실라 우포사타 : 계율의 포살. 8가지 계율을 .. 2024. 11. 21.
① Chanda, lobha, abhijjhā의 구분 / ② 7가지 부수음행 1. '원함'에도 차이가 있다.원함chanda: 단지 원하기만 하고 집착하지 않는 것(e.g. 궁수가 화살통의 화살을 원해서 가지지만, 쏜 뒤에는 집착하지 않는 것)탐욕lobha: 물건이나 사람에 대해 집착하면서 바라는 것간탐abhijjhā: 남의 것을 어떤 방법으로든 가지려고 하는 것1번의 chanda는 초기불전연구원의 번역에는 일괄적으로 '열의'로 번역되는 것이다.실제로 chanda는 유익할 수도 있고 해로울 수도 있는 마음부수 구경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맥에 따라서 담마간다 스님이 번역한 '원함'으로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이도 한다.일례로 「교계 싱갈라 경」에 나오는 chanda는 '열의' 대신 '원함'으로 번역하여 이해하는 것이 더 쉬울 것이다. 3번은 마음으로 짓는 악행ducarita이지.. 2024. 11. 13.
13가지 삿된 생계(micchā-ājīva), 6가지 바른 생계(sammā-ājīva) 1.생계는 '먹고사는 것'이다.  2.삿되게micchā 생계를 유지하는 것ājīva, 즉 잘못된 방식으로 먹고사는 게 삿된 생계다.주로 13가지를 말한다. 그 중 4가지는 몸으로 짓는 악행 3가지와 음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다.살생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것동물, 벌레를 죽이거나 낙태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다.도둑질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것삿된 음행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여자가 자신의 감각욕망을 소유한 남성 외에 음행하면 삿된 음행이며, 이런 잘못된 음행으로 먹고 산다면 삿된 생계다.남자가 자신이 보호하고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여인, 혹은 돈으로써 일시적으로 소유한 성매매 여성 외의 여성과 음행하면 삿된 음행이다. 상대 여성이 음행에 동의했더라도 그 여성의 보호자가 동의하지 않.. 2024. 11. 6.
입으로 짓는 네 번째 악행, 잡담samphappalāpa 쓸모없는 말을sampha 잡담하는 것palāpa이 쓸데없는 말, 잡담samphappalāpa입니다. 여기에는 이익 없는 말일 것, 그 말을 할 것이라는 두 가지 구성요소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말을 듣는 이가 믿어야 업 궤도에 오릅니다. 듣는 이가 그 말을 믿지 않으면 쓸데없는 말이라는 악행만 범하는 것이어서 그 계목만 무너지지 업 궤도에는 오르지 않습니다....여기에는 왕, 도둑, 대신, 군대, 공포, 전쟁, 음식, 음료, 옷, 침대, 화환, 향, 친척, 수레, 마을, 성읍, 도시, 지방, 여자, 영웅, 거리, 우물, 죽은 자에 관련된 이야기, 하찮은 이야기, 그리고 세상, 바다에 관련된 이야기, 이렇다거나 이렇지 않다는 이야기를¹³⁹⁾ 합하여 27가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M76). 혹은 이렇다거나 이.. 2024. 10. 31.
8가지 힘과 출가자의 인내 앙굿따라 니까야 힘 경(A8:27, Bala-sutta)과 대불전경 2권 인내 바라밀의 주석에는 8가지 힘에 대해서 말한다.8가지 힘은 출처와 번역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다르지만,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① 우는 것은 아이들의 힘이다.② 화내는 것은 여자들의 힘이다.③ 무기는 도적들의 힘이다.④ 권력은 왕들의 힘이다.⑤ 불만은 어리석은 자들의 힘이다.⑥ 성찰하는 것은 현자들의 힘이다.⑦ 숙고하는 것은 지자들의 힘이다.⑧ 인내하는 것은 출가자들의 힘이다. 참고할 만한 해설은 다음과 같다.또 하레는 빨리어 발라(bala)를 문자 그대로 ‘힘(力)’으로 번역하지 않고,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갖고 있는 ‘속성(attribute)’이라고 이해했다. 따라서 위 경문을 다시 정리해 보면, 어린아이의 속성은 울음.. 2024. 9. 15.
지혜를 연마하는 7가지 방법 지혜를 연마하는 7가지 방법에 대해, 우 부드 장로는 다음처럼 게송 형식으로 요약했다.① 되풀이해 질문하는 것② 존재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③ 5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④ 어리석은 자를 피하는 것⑤ 지혜로운 자와 사귀는 것⑥ 깊이 성찰하는 것⑦ 지혜의 발전으로 향하는 마음을 지니는 것- 밍군 사야도 지음, 『대불전경』 2권 p.390, (주)한언(2009)  지혜에는 3가지가 있다.사성지(思成知, cintamaya-paññā): 자신의 합리적 사유로 얻는 지혜문성지(聞成知, sutamaya-paññā): 현자의 말을 들어서 얻는 지혜수성지(修成知, bhāvanā-paññā): 실제로 경험해서 얻는 지혜 『대불전경』에서 말하는 지혜를 연마하는 7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Paripucchakatā: 현자에게.. 2024. 9. 7.
봇장가 숫따(Bojjhaṅga Sutta, 깨달음 요소 경)는 어떻게 병을 낫게 하는 것일까? 11가지 보호경 중 봇장가 숫따를 보면 마하깟사빠 존자, 마하목갈라나 존자, 부처님께서 병이 나서 심하게 앓고 있을 때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칠각지)를 듣고 설법 직후 그 자리에서 병이 낫는 것을 볼 수 있다. 경을 보면 단지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차례대로 설할 뿐인데 그것만으로 어떻게 듣는 사람이 곧장 병에서 낫는 것일까?이것은 기쁨이 함께한 마음에서 생긴 물질이 온몸으로 퍼져 병에서 회복되는 것이다. 병 경 1Paṭhamagilāna Sutta...바가와께서 이렇게 설하시자, 바가와의 말씀에 고양된 마하깟사빠 존자는 더불어 기뻐했습니다.그러자 마하깟사빠 존자는 병에서 회복되었습니다.이렇게 마하깟사빠 존자의 병은 사라졌습니다.¹³³⁾병 경 2Dutiyajilāna Sutta...바가와께서 이렇.. 2024. 7. 23.
일반 선업 vs 빠라미 선업 1. 욕심이 있는 선업과 욕심이 없는 선업 우 실라 사야도께선 바라밀이 되는 선업에 대해서 2가지가 있어야 함을 가르쳐주신다. ① 자기에 대한 욕심이 없어야 한다.② 세상에 대한 욕심이 없어야 한다. 핵심은 '욕심의 유무'일텐데, 욕심이 있는 일반 선업은 작고 한정된 결과만을 가져온다.빠라미 선업은 윤회에서 벗어날 때까지 나를 도와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일반 선업은 그렇지 않다. 출세간을 목적으로 선업을 지을 때, 바라밀이 되는 선업이 된다.윤회에서 벗어나기 위한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갈애가 없다.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존재를 위해서 한다. 열반, 윤회에서 벗어남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바라는 것이 따로 있으면서 지은 선업은 일반 선업이 된다. 즉, 내가 받고 싶은 것이 선업인지, 물질 or 인.. 2024. 5.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