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가 해야 하는 행위의 전부, '공덕행 토대Puñña-kiriya-vatthu'에 대한 간단한 설명
불자의 목적은이번 생에 이익을 얻고,다음 생에도 이익을 얻으며,궁극적으로는 이 윤회를 끝내는 이익을 얻는 것입니다.이를 위해 부처님은 공덕이 되는 행위를 매 순간 쌓아나갈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공덕행 토대는 간단하게 3가지, 자세하게 10가지입니다.이것들 외에 불자가 행해야 할 행위는 없습니다. 1. 공덕행토대Puññakiriyavatthu의 어원Puñña (뿐냐)뜻: 공덕, 복덕, 선행어원: puṇāti (깨끗하게 하다, 정화하다)에서 유래의미적으로는 업(kamma) 중에서 선한 행위를 의미하며, 업의 결과로 좋은 과보를 가져오는 행위를 포함합니다.Kiriyā (끼리야)뜻: 행위, 실천, 행동어원: karoti (행하다, 만들다)에서 파생일반적으로 '수행(practice)' 또는 '행동(action)..
2025. 2. 23.
입으로 짓는 네 번째 악행, 잡담samphappalāpa
쓸모없는 말을sampha 잡담하는 것palāpa이 쓸데없는 말, 잡담samphappalāpa입니다. 여기에는 이익 없는 말일 것, 그 말을 할 것이라는 두 가지 구성요소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말을 듣는 이가 믿어야 업 궤도에 오릅니다. 듣는 이가 그 말을 믿지 않으면 쓸데없는 말이라는 악행만 범하는 것이어서 그 계목만 무너지지 업 궤도에는 오르지 않습니다....여기에는 왕, 도둑, 대신, 군대, 공포, 전쟁, 음식, 음료, 옷, 침대, 화환, 향, 친척, 수레, 마을, 성읍, 도시, 지방, 여자, 영웅, 거리, 우물, 죽은 자에 관련된 이야기, 하찮은 이야기, 그리고 세상, 바다에 관련된 이야기, 이렇다거나 이렇지 않다는 이야기를¹³⁹⁾ 합하여 27가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M76). 혹은 이렇다거나 이..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