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처소격 - 단수는 e, mhi, smiṃ로 변하고 복수는 esu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7과)
1. 처소격은 시간적, 공간적, 개념적인 위치, 범위,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격이다. 빠알리어에서 처소격은 1) 단수는 -e / -mhi / -smiṃ 으로 격변화하고 2) 복수는 -esu 로 격변화한다. 뜻은 -에, -에 있어서, -에 관하여로 번역하고, 특히 복수로 쓰일 때는 -가운데라고도 번역한다. 여기서 처소격 단수 격변화 -e는 목적격 복수 격변화와 같은데, 따라서 e 격변화가 나오면 처소격 ‘-에’로 먼저 번역해보고, 어색하면 목적격 ‘-을/를’로 번역하면 된다. 더하여 빠알리어에서 s는 h와 같고, sm은 mh와 같다고 한다. 처소격 -mhi와 -smiṃ는 사실상 같은 형태로의 격변화로 볼 수 있고, 탈격 smā와 mhā도 동일한 원리로 볼 수 있겠다. 2.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의 처소격 ..
2023. 2. 3.
빠알리어 소유격 - 단수는 ssa로 변하고 복수는 ānaṃ으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6과)
1. 앞서 5과에서 언급한 것처럼 소유격은 여격과 비슷하게 번역된다고 한다. 1) 단수는 -ssa로 격변화하며, 2) 복수는 -ānaṃ으로 격변화한다. 뜻은 -의, -에게, -를 위하여로 번역한다. -의를 제외한 -에게, -를 위하여는 여격과 동일한 의미 번역이다. 2. 단수일 경우 nara + ssa = narassa : 사람의, 사람에게 mātula + ssa = mātulassa : 삼촌의, 삼촌에게 kassaka + ssa = kassakassa : 농부의, 농부에게 로 변화하며, 복수일 경우 nara + ānaṃ = narānaṃ : 사람들의, 사람들에게 mātula + ānaṃ = mātulānaṃ : 삼촌들의, 삼촌들에게 kassaka + ānaṃ = kassakānaṃ : 농부들의, 농부들..
2023. 2. 1.
빠알리어 탈격 - 단수는 ā, mhā, smā로 변하고 복수는 ehi, ebhi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4과)
1. 탈격이라는 문법 용어는 다소 생소한데, ‘누구 또는 무엇에서 비롯되는 것을 나타내는 문법 용어’라고 한다. 한자어 탈(奪)은 ‘빼앗을 탈’을 쓰며, 강탈할 때 탈이 이것이다. 누구에게서, 무엇에게서, 무엇으로부터 등 대상의 기원, 원인, 이탈 성향을 말할 때 사용되며 ‘-로부터’, ‘-에게서’, ‘-때문에’라고 번역한다. 영어로는 from과 유사하다 할 것이다. 빠알리어에서는 -a로 끝나는 명사가 탈격이 될 때 1) 단수는 -ā / -mhā / -smā 로 변한다. 2) 복수는 -ehi / ebhi 로 변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1) 탈격 단수 중 -ā 로 변하는 것은 주격 복수와 형태가 같다. 따라서 주격 복수 의미로 먼저 번역해보고, 의미상 그게 아닐 경우에 탈격 단수로 번역한다. 2) 탈격 복..
2023. 1. 30.
빠알리어 목적격 - 단수는 ṃ 을 더하고, 복수는 e 로 고친다. (빠알리 프라이머 2과)
1. -a로 끝나는 남성명사가 목적격(-로, -를)으로 격변화를 할 때, 1) 단수는 단어의 기본형에 -ṃ 을 더한다. 2) 복수는 -a를 -e로 고친다. 이 법칙에 따라 단수 목적격은 nara + ṃ = naraṃ : 사람을, 사람에게로 mātula + ṃ = mātulaṃ : 삼촌을, 삼촌에게로 kassaka + ṃ = kassakaṃ : 농부를, 농부에게로 처럼 단어 기본형에 ṃ 을 붙이고, 복수 목적격은 nara + e = nare : 사람들을, 사람들에게로 mātula + e = mātule : 삼촌들을, 삼촌들에게로 kassaka + e = kassake : 농부들을, 농부들에게로 처럼 마지막 a를 e로 고친다. 2. 1과에서 살펴보았듯이, 동사는 주어에 맞춰서 어미가 변화한다. 목적어에 맞춰..
2023. 1. 26.
빠알리어 41개 자음과 모음
빠알리어는 8개의 모음과 33개의 자음이 있다. 1. 모음 - 단모음: a, i, u (아, 이, 우) - 장모음: ā, ī, ū (아-, 이-, 우-) - 이중모음: e, o(에, 오) 2. 자음 - 5가지 무성무기음 자음은 영어 알파벳과 다른 소리를 낸다. (ka, ca, ṭa, ta, pa) - 자음 밑에 점 표시가 있는 반설음들은 입천장에서 혀를 반쯤 감아서 읽는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