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34

빠알리어 여성명사 격변화 - 끝이 -ā로 끝나는 여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18과) 1. -ā로 끝나는 명사는 대부분 여성명사라고 볼 수 있다. 빠알리어 영어 사전에서 여성명사는 'f.'라고 명기된다. 여성명사의 격변화는 주로 주격과 목적격이 다르고, 도구격부터 처소격까지 한 묶음으로 같은 격변화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아래는 '여자'라는 뜻을 지는 vanitā 의 격변화 예시이다. 단수 복수 주격 vanitā vanitā, vanitāyo 목적격 vanitaṃ vanitā, vanitāyo 도구격 vanitāya vanitāhi (vanitābhi) 탈격 vanitāya vanitāhi (vanitābhi) 여격 vanitāya vanitānaṃ 소유격 vanitāya vanitānaṃ 처소격 vanitāya, vanitāyaṃ vanitāsu 호격 vanite vanitā, v.. 2023. 5. 6.
재고자산 (전산회계 1급 보충)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의 결정 개념 회사 재고자산은 실질 소유권에 따라 판단한다. 창고에 보관중인 자산이더라도 회사 소유가 아닐 수 있고, 창고에 없는 자산이더라도 회사의 소유일 수 있다. 미착품 상품을 주문하였으나 결산일 현재 운송 중에 있는 것 → 매매계약조건에 따라 소유권이 결정된다. 선적지 인도조건 → 재화를 선적하는 시점에 구매자 소유가 된다 → 기말 현재 미착품은 구매자의 재고자산이다. 도착지 인도조건 → 재화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점에 구매자 소유가 된다 → 기말 현재 미착품은 판매자의 재고자산이다. 적송품(위탁판매) 위탁은 '맡길 위'에 '부탁할 탁' → 위탁판매는 회사가 자신의 상품을 홈쇼핑 등에 위탁하여 판매하는 방식 → 여기서 회사는 위탁자, 판매를 위탁받아 대행하는 홈쇼핑은 수탁.. 2023. 5. 3.
빠알리어 과거형 - 어간에 -i/-si/-ayi 를 붙이거나 어두에 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7과) 1. 빠알리 과거형의 경우 ati 동사는 어미가 -i로 변하고, eti 동사는 어미가 -si로 변한다. Gacchati는 gacchi가 되고, deseti는 desesi가 된다. 또한 어두에 a-가 붙으면 똑같이 과거형이 된다. Gacchi는 agacchi와 같다. '갔다'라는 뜻이 된다. 만약 과거형으로 부정의 뜻을 드러내고 싶을 경우, na를 쓴다. Na gacchi는 가지 않았다는 뜻이다. 참고로 āgacchati의 과거형인 āgacchi는 '왔다'의 뜻이 될 것이다. 이것은 어두에 a-가 붙은 경우가 아닌, 단어 자체 어두에 장음 ā가 원래부터 있는 경우다. 2. -ati 동사의 인칭과 단복수에 따른 과거형 변화는 다음과 같다. '요리하다'의 뜻을 지닌 어간 paca를 활용한 예시이다. 단수 3인.. 2023. 5. 3.
빠알리어 명령형 - 어간에 -tu / -ntu / -(장음)hi 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6과) 1. 명령형은 이름 그대로 명령의 뜻을 표현하거나 축복, 기도, 바람의 뜻을 표현한다고 한다. 후자는 기원문과 뜻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요리하다'의 뜻을 가진 어간 paca를 단복수와 인칭에 따라 명령형으로 변화시키면 다음과 같다. 단수 3인칭 So pacatu 그는 요리하십시오. 2인칭 Tvaṃ paca / Tvaṃ pacāhi 너는 요리해라. 1인칭 Ahaṃ pacāmi 나는 요리하겠다. 명령형 1인칭 단수의 어미는 현재형과 같다. 명령형 2인칭 단수의 어미는 없어지거나, '장음 + hi'의 형태가 된다. 명령형 3인칭 단수의 어미에는 -tu가 붙는다. -tu가 있으면 명령형이라고 알 수 있다. 복수 3인칭 Te pacantu 그들은 요리하십시오. 2인칭 Tumhe pacatha 너희들은 요리.. 2023. 5. 1.
당좌자산 (전산회계 1급 보충) 유가증권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는 문서. 재산적인 권리를 표시하는 증서. 지분증권과 채무증권으로 나뉜다. 지분증권: 주식과 같이 발행한 회사의 순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유가증권. 만기가 없다. 취득 시 보유기간 동안 배당을 받고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다. 채무증권: 국채, 공채, 회사채 등 발행자에게 금전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내는 유가증권. 만기가 있다. 취득 시 보유기간 동안 이자를 받고, 만기가 되면 액면금액을 받는다. 해당 계정과목 기업이 유가증권을 취득하면, 유가증권 형태(지분증권 - 주식, 채무증권 - 채권)와 보유목적에 따라 해당 유가증권을 4가지(단기매매증권, 만기보유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 매도가능증권) 중 하나의 계정과목으로 처리한다. 단기매매증권이 상장폐지 등으로.. 2023. 4. 29.
빠알리어 원망형(조동사) - 어간 모음에 -eyy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5과) 1. 원망형의 원망은 원할 원에 바랄 망을 쓴다. 원망하다의 원망이 아니라 원하고 바란다는 뜻이다. 영어로는 Optative, opt라고 하며 기원, 소원, 소망 등을 나타낸다고 한다. 어간 모음에 -eyya를 붙여서 만든다. ati, āti, eti, oti 모두 eyya 가 붙는다. 3인칭 단수에는 인칭에 따른 어미(-ti)를 붙이지 않고, 3인칭 복수에는 인칭에 따른 어미(-nti)를 붙이지 않고 -eyya 대신 eyyuṃ 이 붙는다. 뜻으로는 흔히 영어에서 언급되는 모든 조동사의 뜻을 포괄하며, 어떤 조동사의 뜻이라도 될 수 있다고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해야한다, -할 수 있다, 만약 -라면, -하면 등을 나타낸다고 한다. 주로 가능성, 충고, 조건문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2. 어간 p.. 2023. 4. 28.
-ati 동사와 비슷한 eti/āti/oti 동사의 활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13과) 1. Eti로 끝나는 동사 중 e는 aya로 대신할 수도 있다. 즉 eti 동사는 ayati와 같다. Coreti는 '훔치다'라는 뜻인데, 어근은 같은 뜻의 cur이고, 어간은 core이다. Coreti는 corayati로도 쓰일 수 있다. Coreti를 인칭과 단복수에 따라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단수 복수 3인칭 coreti corenti 2인칭 coresi coretha 1인칭 coremi corema Core와 같은 뜻의 어간은 coraya이다. Corayati를 인칭과 단복수에 따라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단수 복수 3인칭 corayati corayanti 2인칭 corayasi corayatha 1인칭 corayāmi corayāma 예시로 든 coreti와 유사하게 활용변화하는 eti 동.. 2023. 4. 23.
빠알리어 미래형 - 동사 어근이나 어간에 -(i/e)ss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4과) 1. 빠알리어 미래형은 동사 어근이나 어간에 -(i/e)ssa를 붙인다. 어미는 해당 동사의 현재형과 같다. 1️⃣ -eti 동사는 -essati 가 된다. 2️⃣ -ati / āti / oti 동사는 -issati 가 된다. 미래형 동사의 의미는 '~할 것이다' 이다. 2. '요리하다'의 뜻을 지닌 어간 'Paca'의 미래형 동사는 아래와 같다. 어간에 -iss가 추가로 붙었다고 인식하면 편하다. 단수 3인칭 : So pacissati. 그는 요리할 것이다. 2인칭: Tvaṃ pacissasi. 너는 요리할 것이다. 1인칭: Ahaṃ pacissāmi. 나는 요리할 것이다. 복수 3인칭: Te pacissanti. 그들은 요리할 것이다. 2인칭: Tumhe pacissatha. 너희들은 요리할 것이다... 2023. 4. 21.
빠알리어 현재, 능동 동사 1~3인칭 활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12과) 1. 빠알리어 대명사는 인칭과 단복수에 따라 아래와 같다. 단수 복수 1인칭 Ahaṃ Mayaṃ 2인칭 Tvaṃ Tumhe 3인칭 So Te 그에 따라 대응되는 동사의 활용변화는 아래와 같다. 예시로 활용되는 동사는 pacati(요리하다)이다. 단수 복수 1인칭 Pacāmi pacāma 2인칭 Pacasi Pacatha 3인칭 pacati pacanti 2. 예문으로 알아보자. 단수 Ahaṃ bhattaṃ pacāmi. 나는 쌀을 요리한다. Tvaṃ bhattaṃ pacasi. 너는 쌀을 요리한다. So bhattaṃ pacati. 그는 쌀을 요리한다. 복수 Mayaṃ bhattaṃ pacāma. 우리는 쌀을 요리한다. Tumhe bhattaṃ pacatha. 너희들은 쌀을 요리한다. Te bhattaṃ.. 2023. 4. 19.
“지금 자신의 수행 단계에서 걷는 것만 알고 풍대는 모른다면, 이때에는 선업을 지으면서 수행하면 됩니다.” "'서리'라고 마음이 일어나면 그것은 바람을 생기게 하고 바람은 암시를 생기게 하여 마음의 작용에서 생긴 바람의 요소의 움직임에 의해서 온몸이 아래로부터 곧게 서는 상태를 서는 것이라고 부른다." 나머지 자세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설명한다. (대념처경 P.502) 이 방법으로는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 수행을 하고 싶으면 단계적으로 수행해나가다 보면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자신의 수행 단계에서는 '걷고 있다'라고 걷는 것만 알고, '풍(지)대'는 모르는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선업을 지으면서 수행하면 됩니다. 부처님을 모시고 살기 위해, 법문을 듣기 위해, 스님들께 공양 올리기 위해 가는 걸음이기 때문에 한 걸음, 한 걸음의 가치가 높은 것입니다. 똑같이 한 걸음, 한 걸음을 걷고 있어도 차이.. 2023. 4. 15.
회계의 기본개념 (전산회계 1급 보충) 회계정보이용자 내부정보이용자 경영자: 재무상태와 경영실적 파악 → 사업계획 수립 종업원: 고용주의 보수, 퇴직금 지급 능력 평가 →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파악 외부정보이용자 투자자(주주): 투자수익성, 투자위험도 평가 → 기업가치, 배당능력, 지속가능성 파악 채권자(은행): 원리금 지급 능력 평가 → 영업실적, 재무상태 파악 거래처: 지급기일 내 물품대금 지급 능력 평가 과세기관: 과세표준과 납부세액 결정을 위한 재무 정보 파악 잠재적 투자자(일반대중):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기업 현황, 성장 추세에 대한 정보 파악 회계의 종류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 원가회계(관리회계, 원가관리회계, Cost and Management Accounting)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정보이용자의 의사.. 2023. 4. 14.
Anattalakkhaṇa-sutta - 빠알리 원전 강독 (1) 1. 모든 빠알리어 명사는 모음(a, e, i, o, u)으로 끝난다. 이 중 가장 기본적인 모음은 a, i, u 이며, 이것들이 1차 곡용이 되어서 각각 ā, e, o 로 쓰인다. 2. 명사의 경우 여러 ending 형태에 따른 격변화 규칙을 바르게 알고, 문장에서의 쓰임을 알아 해당 명사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8개의 격 이름은 뜻을 바로 연상하기 어려운 한자 문법 용어보다 아래와 같이 한글 용어로 치환하여 인식하면 편하다. 한자 한글 영어 주격 은는격 nom (nominative case) 목적격 을를격 acc (accusative case) 도구격 의한격 ins (instrumental case) 여격 에게격 dat (dative case) 탈격 부터격 abl (ablative case) 소유.. 2023. 4.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