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ā로 끝나는 명사는 대부분 여성명사라고 볼 수 있다.
빠알리어 영어 사전에서 여성명사는 'f.'라고 명기된다.
여성명사의 격변화는 주로 주격과 목적격이 다르고,
도구격부터 처소격까지 한 묶음으로 같은 격변화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아래는 '여자'라는 뜻을 지는 vanitā 의 격변화 예시이다.
단수 | 복수 | |
주격 | vanitā | vanitā, vanitāyo |
목적격 | vanitaṃ | vanitā, vanitāyo |
도구격 | vanitāya | vanitāhi (vanitābhi) |
탈격 | vanitāya | vanitāhi (vanitābhi) |
여격 | vanitāya | vanitānaṃ |
소유격 | vanitāya | vanitānaṃ |
처소격 | vanitāya, vanitāyaṃ | vanitāsu |
호격 | vanite | vanitā, vanitāyo |
여성명사 단수 격변화의 경우 주격, 목적격을 제외한 격은 모두 āya 이므로 자유롭게 번역하면 되겠다.
복수 격변화의 경우 주격, 목적격, 호격은 -ā 혹은 -yo로 끝이 같고, 도구격에서 처소격까지는 남성명사의 격변화와 유사하다.
ā, i/ī, u/ū 로 끝나는 여성명사들은 모두 도구격~처소격 격변화 시 끝에 -ya가 붙는다고 하며,
이를 통해 해당 명사가 여성명사인지 보다 쉽게 짐작할 수 있겠다.
2.
18과에서 나오는 주요 명사와 동사는 다음과 같다.
아래 단어들은 외워두면 좋다. 특히 수행 용어가 여성명사가 많다고 한다.
명사
Kaññā / dārikā : 소녀
Gaṅgā : 갠지스강
Paññā: 지혜
Sālā: 강당
Devatā: 천신
Saddhā : 믿음, 신뢰, 헌신
동사
Sakkoti : 할 수 있다, 가능하다. (어근 śak - 할 수 있다, to be able)
vāyamati: 노력하다, 애쓰다.
pakkhipati: 놓다, 내던지다. (접두어 pa, pra - onward / 어근 kṣip - 던지다, to throw)
3.
여성명사 활용 예문은 다음과 같다.
Sace sabhāyaṃ kaññāyo katheyyuṃ ahaṃ pi kathessāmi.
만약 모임에서 소녀들이 이야기한다면, 나 또한 이야기할 것이다.
Dārikāyo pupphāni ocinitvā sālāyaṃ nisīditvā mālāyo kariṃsu.
소녀들이 꽃들을 모은 후에 강당에 앉아서 화환들을 만들었다.
Vanitā rukkhassa sākhāyo chinditvā ākaḍḍhi.
여자들이 나무의 가지들을 자른 후에 끌고 왔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열반 > 빠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알리어 여성명사 격변화 - 끝이 -i /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0과) (0) | 2023.05.13 |
---|---|
빠알리어 과거분사 - 어근이나 어간에 -ita / -ta / nna 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9과) (0) | 2023.05.10 |
빠알리어 과거형 - 어간에 -i/-si/-ayi 를 붙이거나 어두에 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7과) (0) | 2023.05.03 |
빠알리어 명령형 - 어간에 -tu / -ntu / -(장음)hi 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6과) (0) | 2023.05.01 |
빠알리어 원망형(조동사) - 어간 모음에 -eyya를 붙인다. (빠알리 프라이머 15과)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