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앞서 31과에서 1인칭 대명사(표 26)와 2인칭 대명사(표 27) 격변화를 공부했다.
32과에서는 아래 주제들을 배운다.
- 3인칭 대명사(=지시대명사, 표 28)
- 여러 가지 지시대명사(표 29, 30, 31, 34)
- 관계대명사(표 32)
- 의문대명사(표 33)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는 뒤의 명사와 성을 맞춰 쓰이며, 그에 따라 세 가지 성을 갖는다.
남성, 중성, 여성 대명사들은 각각의 성에 맞게 격변화 규칙을 따르며, 다른 명사와 연결될 때 형용사(수식어)가 된다.
- Kiṃ dukkhaṃ hoti? → 중성명사 dukkha에 따라 중성 의문대명사 kiṃ이 쓰였다.
- Ko samudayo hoti? → 남성명사 samudaya에 따라 남성 의문대명사 ko가 쓰였다.
2.
표 28은 sa/ta의 격변화이다.
지시대명사로서 '그'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그는, 그녀는, 그것은'의 뜻을 가진다.
단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so, sa | sā | taṃ, tad, se, tadaṃ |
목적격 | taṃ | taṃ | taṃ, tad, se, tadaṃ |
도구격 | tena | tāya | tena |
탈격 | tasmā, tamhā, tato | tāya | tasmā, tamhā, tato |
여격 | tassa | tassā, tissa, tāya, tassāya, tissāya |
tassa |
소유격 | tassa | tassā, tissa, tāya, tassāya, tissāya |
tassa |
처소격 | tasmiṃ, tamhi | tassaṃ, tissaṃ, tāyaṃ, tāsaṃ |
tasmiṃ, tamhi |
복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te | tā, tāyo | tāni |
목적격 | te | tā, tāyo | tāni |
도구격 | tehi, tebhi | tāhi, tābhi | tehi, tebhi |
탈격 | tehi, tebhi | tāhi, tābhi | tehi, tebhi |
여격 | tesaṃ, tesānaṃ | tāsaṃ, tāsānaṃ | tesaṃ, tesānaṃ |
소유격 | tesaṃ, tesānaṃ | tāsaṃ, tāsānaṃ | tesaṃ, tesānaṃ |
처소격 | tesu | tāsu | tesu |
중성 대명사는 도구격 이하는 남성 대명사와 동일하다.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된다.
단수의 경우 taṃ이 목적격에서 동일하고, 중성 주격에까지 쓰인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3.
표 29는 esa/eta의 격변화이다.
표 28의 sa/ta의 격변화에서 앞에 e- 가 붙은 것이라고 인식하면 편하다.
지시대명사로서 '이'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이 남자, 이 여자, 이것'의 뜻을 가진다.
남성 | 여성 | 중성 | |
주격 단수 | eso, esa | esā | etaṃ |
주격 복수 | ete | etā, etāyo | etāni |
표 30은 ay/i의 격변화이다.
지시대명사로서 '이'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이 남자, 이 여자, 이것'의 뜻을 가진다.
단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ayaṃ | ayaṃ | Idaṃ, imaṃ |
목적격 | imaṃ | imaṃ | Idaṃ, imaṃ |
도구격 | iminā, anena | imāya | iminā, anena, aminā |
탈격 | imasmā, asmā, imamhā | imāya | imasmā, asmā, imamhā |
여격 | Imassa, assa, imissa | imissā, assā, imissāya, assāya, imāya |
imissa, assa |
소유격 | Imassa, assa, imissa | imissā, assā, imissāya, assāya, imāya |
imissa, assa |
처소격 | Imasmiṃ, imissaṃ, asmiṃ, imamhi |
imissaṃ, assaṃ, imissā, imāsaṃ, imāyaṃ |
Imasmiṃ, asmiṃ, imamhi |
복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Ime | imā, imāyo | imāni |
목적격 | Ime | imā, imāyo | Imāni |
도구격 | imehi, ehi, emebhi, ebhi | imāhi, imābhi | imehi, ehi, emebhi, ebhi |
탈격 | imehi, ehi, emebhi, ebhi | imāhi, imābhi | imehi, ehi, emebhi, ebhi |
여격 |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
imāsaṃ, asaṃ, imāsānaṃ |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
소유격 |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
imāsaṃ, asaṃ, imāsānaṃ |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
처소격 | Imesu | Imāsu | Imesu, esu |
표 31은 asu/amu의 격변화이다.
지시대명사로서 '저'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저 남자, 저 여자, 저것'의 뜻을 가진다.
단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Asu, amu | asu | aduṃ |
목적격 | amuṃ | amuṃ | aduṃ, amuṃ |
도구격 | amunā | amuyā | amunā |
탈격 | amusmā | amuyā | amusmā, amumhā |
여격 | amussa, adussa | amussā, amuyā | amussa, adussa |
소유격 | amussa, adussa | amussā, amuyā | amussa, adussa |
처소격 | amusmiṃ, amumhi | amussaṃ, amuyaṃ | Amusmiṃ, amumhi |
복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Amū, amuyo | amū | amūni, amū |
목적격 | Amū, amuyo | amū | amūni, amū |
도구격 | Amūhi, amūbhi | amūhi | Amūhi, amūbhi |
탈격 | Amūhi, amūbhi | amūhi | Amūhi, amūbhi |
여격 | amūsaṃ | Amūsaṃ | amūsaṃ |
소유격 | amūsaṃ | Amūsaṃ | amūsaṃ |
처소격 | Amūsu | Amūsu | Amūsu |
표 34는 sabba의 격변화이다.
'모든'의 뜻을 가진다.
단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Sabbo | sabbā | sabbaṃ |
목적격 | sabbaṃ | sabbaṃ | sabbaṃ |
도구격 | sabbena | sabbāya | sabbena |
탈격 | sabbasmā, sabbamhā | sabbāya | sabbasmā, sabbamhā |
여격 | sabbassa, sabbassā | sabbassa, sabbāy | sabbassa, sabbassā |
소유격 | sabbassa, sabbassā | sabbassa, sabbāy | sabbassa, sabbassā |
처소격 | Sabbasmiṃ, sabbamhi | sabbassaṃ, sabbāyaṃ | sabbasmiṃ, sabbamhi |
복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Sabbe | sabbā, sabbāyo | sabbāni |
목적격 | sabbe | sabbā, sabbāyo | sabbāni |
도구격 | sabbehi, sabbebhi | sabbāhi, sabbābhi, sabbebhi | sabbehi |
탈격 | sabbehi, sabbebhi | sabbāhi, sabbābhi, sabbebhi | sabbehi |
여격 | sabbesaṃ, sabbesānaṃ | Sabbāsaṃ, sabbāsānaṃ | Sabbesaṃ, sabbesānaṃ |
소유격 | sabbesaṃ, sabbesānaṃ | Sabbāsaṃ, sabbāsānaṃ | Sabbesaṃ, sabbesānaṃ |
처소격 | Sabbesu | Sabbāsu | sabbesu |
4.
표 32는 관계대명사 ya의 격변화이다.
'어떤, 어느'의 뜻을 지닌다.
관계대명사는 28번 표의 sa/ta에서 s와 t를 y로 바꾸면 된다.
즉, 사실상 격변화를 알고 싶다면 28번 표를 참고하면 된다.
단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Yo | yā | yaṃ, yad, ye |
목적격 | yaṃ | yaṃ | yaṃ, yad, ye |
- So: 그가 → yo: 어떤 이가
- Taṃ: 그것은 → yaṃ: that
- Sā: 그녀가 → yā: 어떤 여자가
- Te: 그들이 → ye: 어떤 이들이
- Tāni: 그것들이 → yāni: 어떤 것들이
5.
표 33는 의문대명사 ka/ki의 격변화이다.
'누구, 무엇, 왜'의 뜻을 지닌다.
의문대명사 역시 28번 표의 sa/ta에서 s와 t를 k로 바꾸면 된다.
즉, 사실상 격변화를 알고 싶다면 28번 표를 참고하면 된다.
단수 | 남성 | 여성 | 중성 |
주격 | Ko, ke | kā | kiṃ |
목적격 | kaṃ | kaṃ | kiṃ |
다만 중성 단수에서 주격과 목적격이 kaṃ이 아니고 kiṃ인데, 표 28번의 격변화 형태와 이 부분만 다르다.
따라서 kiṃ은 그 뜻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물음표), 무엇이, 무엇을, 왜'의 뜻이다.
- So: 그가 → ko: 누가
- Taṃ: 그것은 → kiṃ: 무엇이
- Sā: 그녀가 → kā: 누가
- Te: 그들이 → ke: 누구들이
- Tāni: 그것들이 → kāni: 무엇들이
6.
Ci는 영어로 '-ever'의 뜻을 가지며, 뜻은 '누군가, 어떤 것이든, -든지'로 해석된다.
격변화를 하지 않는 불변화사이며, ci가 붙은 앞의 단어만 격변화한다.
Ci는 앞서 살펴본 인칭/지시/관계/의문 대명사들 중 의문대명사와 결합한다.
'의문사 + ci / cana / pi'는 '누군가, 누구든지, 무엇이든지'의 뜻이 된다.
남성
Koci puriso: 어떤 사람
Kenaci purisena: 어떤 사람에 의해서
중성
Kiñci phalaṃ: 어떤 과일이/을
Kenaci phalena: 어떤 과일로
여성
Kāci itthi: 어떤 여자가
Kāyaci itthiyā: 어떤 여자에게, 여자의, 여자에 있어서
7.
다음은 관계부사, 지시부사, 의문부사이다.
부사는 앞서 살펴본 ci와 마찬가지로 불변화사라고 한다.
관계부사 | 지시부사 | 의문부사 | 비고 |
Yattha: 어디에 | tattha: 그곳에 | Kattha: 어디에 | -ttha는 '장소'의 의미 |
Yatra: 어디에 | Tatra: 그곳에 | Kutra: 어디에 | -tra는 '장소'의 의미 |
Yato: 어디로부터, 왜 | Tato: 그로부터, 그러므로 | Kuto: 무엇으로부터 | -to는 '탈격'의 의미 |
Yathā: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 Tathā: 그와 같이, 그런 방법으로 | Kathaṃ: 어떻게 | -thā는 '방법'의 의미 |
Yasmā: 어떤 것 때문에 | Tasmā: 그 때문에, 그러므로 | Kasmā: 왜, 무엇 때문에 | -smā는 탈격, '~때문에'의 의미 |
Yadā: 어느 때 | Tadā: 그 때 | Kadā: 언제 | -dā는 '시간'의 의미 |
Yena: 어떤 것으로 | Tena: 그것으로 | -ena는 도구격, '~것으로' 의미 | |
Yāva: 어느 정도로, ~한에서 | Tāva: 그 정도로, 그 한에서 | -va는 '~정도로'의 의미 |
별도로 '-dā'와 관련해서 sabbadā / sadā 도 있다.
'모든 때, 항상'이라는 뜻이다.
무아의 특징 경에서도 'yasmā ~ tasmā~' 구문이나 'yaṃ~ taṃ~' 구문이 나온다.
이렇듯 관계구문은 y로 시작하는 관계대명사가 나오면, 뒷 문장에서 s/t로 시작하는 지시대명사가 거의 생략되지 않고 나온다.
혹은 반대로 s/t로 시작하는 지시대명사가 나오면, 뒷 문장에서 y로 시작하는 관계대명사가 나오기도 한다.
이 경우 항상 y로 시작하는 관계대명사 구문을 먼저 번역하면 편하다고 한다.
뜻은 '~는데'로 해석하면 우리말 해석이 편리하다.
8.
실제 문장에서 관계 구문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로 나누어 표현해본다.
Yassā so putto hoti / sā mātā puññavatī hoti.
어떤 여자에게 그 아들이 있는데, 그 어머니는 공덕이 있는 여자다.
Yo taṃ dīpaṃ pāleti / so dhammiko bhūpati hoti.
어떤 자는 그 섬을 보호하는데 그는 법다운 왕이다.
Yo atthaññu hoti / so kumāre anusāsituṃ āgacchatu.
이득을 아는 자인 그는 소년들을 훈계하기 위해 와주십시오.
Yaṃ ahaṃ ākaṅkhamāno ahosiṃ / so āgato hoti.
내가 어떤 이를 기대하고 있었는데, 그가 왔다.
Yena maggena so āgato / tena gantuṃ ahaṃ icchāmi.
그가 왔던 어떤 길로 가기를 나는 원한다.
Yāni kammāni sukhaṃ āvahanti / tāni puññāni honti.
행복을 가져오는 그 행위들은 공덕들이 된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열반 > 빠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칭, 2인칭 대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31과) (0) | 2023.06.27 |
---|---|
-vant / -mant로 끝나는 형용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30과) (0) | 2023.06.25 |
-i / -u로 끝나는 중성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29과) (0) | 2023.06.24 |
빠알리어 격변화 - 끝이 -u / -ar로 끝나는 남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8과) (0) | 2023.06.23 |
빠알리어 격변화 - 끝이 -u / -ū로 끝나는 남성명사 (빠알리 프라이머 27과) (0) | 2023.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