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반/빠알리어

인칭 / 지시 / 관계 / 의문 대명사 격변화 (빠알리 프라이머 32과)

by Rihan 2023. 7. 1.
728x90

1.

앞서 31과에서 1인칭 대명사(표 26)와 2인칭 대명사(표 27) 격변화를 공부했다.

32과에서는 아래 주제들을 배운다.

 

  • 3인칭 대명사(=지시대명사, 표 28)
  • 여러 가지 지시대명사(표 29, 30, 31, 34)
  • 관계대명사(표 32)
  • 의문대명사(표 33)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는 뒤의 명사와 성을 맞춰 쓰이며, 그에 따라 세 가지 성을 갖는다.

남성, 중성, 여성 대명사들은 각각의 성에 맞게 격변화 규칙을 따르며, 다른 명사와 연결될 때 형용사(수식어)가 된다.

 

  • Kiṃ dukkhaṃ hoti? → 중성명사 dukkha에 따라 중성 의문대명사 kiṃ이 쓰였다.
  • Ko samudayo hoti? → 남성명사 samudaya에 따라 남성 의문대명사 ko가 쓰였다.

 

2.

표 28은 sa/ta의 격변화이다.

지시대명사로서 '그'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그는, 그녀는, 그것은'의 뜻을 가진다.

단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so, sa taṃ, tad, se, tadaṃ 
목적격 taṃ  taṃ  taṃ, tad, se, tadaṃ 
도구격 tena tāya tena
탈격 tasmā, tamhā, tato tāya tasmā, tamhā, tato
여격 tassa tassā, tissa, tāya, tassāya,
tissāya
tassa
소유격 tassa tassā, tissa, tāya, tassāya,
tissāya
tassa
처소격 tasmiṃ, tamhi tassaṃ, tissaṃ, tāyaṃ,
tāsaṃ 
tasmiṃ, tamhi
복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te , tāyo tāni
목적격 te , tāyo tāni
도구격 tehi, tebhi tāhi, tābhi tehi, tebhi
탈격 tehi, tebhi tāhi, tābhi tehi, tebhi
여격 tesaṃ, tesānaṃ tāsaṃ, tāsānaṃ tesaṃ, tesānaṃ 
소유격 tesaṃ, tesānaṃ tāsaṃ, tāsānaṃ tesaṃ, tesānaṃ 
처소격 tesu tāsu tesu

 

중성 대명사는 도구격 이하는 남성 대명사와 동일하다.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된다.

단수의 경우 taṃ이 목적격에서 동일하고, 중성 주격에까지 쓰인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3.

표 29는 esa/eta의 격변화이다.

표 28의 sa/ta의 격변화에서 앞에 e- 가 붙은 것이라고 인식하면 편하다.

 

지시대명사로서 '이'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이 남자, 이 여자, 이것'의 뜻을 가진다.

  남성 여성 중성
주격 단수 eso, esa esā etaṃ
주격 복수 ete etā, etāyo etāni

 

표 30은 ay/i의 격변화이다.

지시대명사로서 '이'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이 남자, 이 여자, 이것'의 뜻을 가진다.

단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ayaṃ ayaṃ  Idaṃ, imaṃ 
목적격 imaṃ  imaṃ  Idaṃ, imaṃ 
도구격 iminā, anena imāya iminā, anena, aminā
탈격 imasmā, asmā, imamhā imāya imasmā, asmā, imamhā
여격 Imassa, assa, imissa imissā, assā, imissāya,
assāya, imāya
imissa, assa
소유격 Imassa, assa, imissa imissā, assā, imissāya,
assāya, imāya
imissa, assa
처소격 Imasmiṃ, imissaṃ, asmiṃ,
imamhi
imissaṃ, assaṃ, imissā,
imāsaṃ, imāyaṃ 
Imasmiṃ, asmiṃ, imamhi
복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Ime imā, imāyo imāni
목적격 Ime imā, imāyo Imāni
도구격 imehi, ehi, emebhi, ebhi imāhi, imābhi imehi, ehi, emebhi, ebhi
탈격 imehi, ehi, emebhi, ebhi imāhi, imābhi imehi, ehi, emebhi, ebhi
여격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imāsaṃ, asaṃ, imāsānaṃ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소유격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imāsaṃ, asaṃ, imāsānaṃ  Imesaṃ, esaṃ, mesānaṃ,
esānaṃ 
처소격 Imesu Imāsu Imesu, esu

 

표 31은 asu/amu의 격변화이다.

지시대명사로서 '저'의 뜻을 가지고, 3인칭 대명사로서 '저 남자, 저 여자, 저것'의 뜻을 가진다.

단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Asu, amu asu aduṃ
목적격 amuṃ  amuṃ  aduṃ, amuṃ 
도구격 amunā amuyā amunā
탈격 amusmā amuyā amusmā, amumhā
여격 amussa, adussa amussā, amuyā amussa, adussa
소유격 amussa, adussa amussā, amuyā amussa, adussa
처소격 amusmiṃ, amumhi amussaṃ, amuyaṃ  Amusmiṃ, amumhi
복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Amū, amuyo amū amūni, amū
목적격 Amū, amuyo amū amūni, amū
도구격 Amūhi, amūbhi amūhi Amūhi, amūbhi
탈격 Amūhi, amūbhi amūhi Amūhi, amūbhi
여격 amūsaṃ  Amūsaṃ  amūsaṃ 
소유격 amūsaṃ  Amūsaṃ  amūsaṃ 
처소격 Amūsu Amūsu Amūsu

 

표 34는 sabba의 격변화이다.

'모든'의 뜻을 가진다.

단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Sabbo sabbā sabbaṃ 
목적격 sabbaṃ  sabbaṃ  sabbaṃ  
도구격 sabbena sabbāya sabbena
탈격 sabbasmā, sabbamhā sabbāya sabbasmā, sabbamhā
여격 sabbassa, sabbassā sabbassa, sabbāy sabbassa, sabbassā
소유격 sabbassa, sabbassā sabbassa, sabbāy sabbassa, sabbassā
처소격 Sabbasmiṃ, sabbamhi sabbassaṃ, sabbāyaṃ  sabbasmiṃ, sabbamhi
복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Sabbe sabbā, sabbāyo sabbāni
목적격 sabbe sabbā, sabbāyo sabbāni
도구격 sabbehi, sabbebhi sabbāhi, sabbābhi, sabbebhi sabbehi
탈격 sabbehi, sabbebhi sabbāhi, sabbābhi, sabbebhi sabbehi
여격 sabbesaṃ, sabbesānaṃ  Sabbāsaṃ, sabbāsānaṃ  Sabbesaṃ, sabbesānaṃ 
소유격 sabbesaṃ, sabbesānaṃ  Sabbāsaṃ, sabbāsānaṃ  Sabbesaṃ, sabbesānaṃ 
처소격 Sabbesu Sabbāsu sabbesu

 

 

4.

표 32는 관계대명사 ya의 격변화이다.

'어떤, 어느'의 뜻을 지닌다.

 

관계대명사는 28번 표의 sa/ta에서 s와 t를 y로 바꾸면 된다.

즉, 사실상 격변화를 알고 싶다면 28번 표를 참고하면 된다.

단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Yo yaṃ, yad, ye
목적격 yaṃ  yaṃ   yaṃ, yad, ye

 

  • So: 그가 → yo: 어떤 이가
  • Taṃ: 그것은 → yaṃ: that
  • Sā: 그녀가 → yā: 어떤 여자가
  • Te: 그들이 → ye: 어떤 이들이
  • Tāni: 그것들이 → yāni: 어떤 것들이

 

5.

표 33는 의문대명사 ka/ki의 격변화이다.

'누구, 무엇, 왜'의 뜻을 지닌다.

 

의문대명사 역시 28번 표의 sa/ta에서 s와 t를 k로 바꾸면 된다.

즉, 사실상 격변화를 알고 싶다면 28번 표를 참고하면 된다.

단수 남성 여성 중성
주격 Ko, ke kiṃ
목적격 kaṃ kaṃ  kiṃ

 

다만 중성 단수에서 주격과 목적격이 kaṃ이 아니고 kiṃ인데, 표 28번의 격변화 형태와 이 부분만 다르다.

따라서 kiṃ은 그 뜻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물음표), 무엇이, 무엇을, 왜'의 뜻이다.

 

  • So: 그가 → ko: 누가
  • Taṃ: 그것은 → kiṃ: 무엇이
  • Sā: 그녀가 → kā: 누가
  • Te: 그들이 → ke: 누구들이
  • Tāni: 그것들이 → kāni: 무엇들이

 

6.

Ci는 영어로 '-ever'의 뜻을 가지며, 뜻은 '누군가, 어떤 것이든, -든지'로 해석된다.

격변화를 하지 않는 불변화사이며, ci가 붙은 앞의 단어만 격변화한다.

 

Ci는 앞서 살펴본 인칭/지시/관계/의문 대명사들 중 의문대명사와 결합한다.

'의문사 + ci / cana / pi'는 '누군가, 누구든지, 무엇이든지'의 뜻이 된다.

 

남성

 

Koci puriso: 어떤 사람

Kenaci purisena: 어떤 사람에 의해서

 

중성

 

Kiñci phalaṃ: 어떤 과일이/을

Kenaci phalena: 어떤 과일로

 

여성

Kāci itthi: 어떤 여자가

Kāyaci itthiyā: 어떤 여자에게, 여자의, 여자에 있어서

 

 

7.

다음은 관계부사, 지시부사, 의문부사이다.

부사는 앞서 살펴본 ci와 마찬가지로 불변화사라고 한다.

 

관계부사 지시부사 의문부사 비고
Yattha: 어디에 tattha: 그곳에 Kattha: 어디에 -ttha는 '장소'의 의미
Yatra: 어디에 Tatra: 그곳에 Kutra: 어디에 -tra는 '장소'의 의미
Yato: 어디로부터, 왜 Tato: 그로부터, 그러므로 Kuto: 무엇으로부터 -to는 '탈격'의 의미
Yathā: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Tathā: 그와 같이, 그런 방법으로 Kathaṃ: 어떻게 -thā는 '방법'의 의미
Yasmā: 어떤 것 때문에 Tasmā: 그 때문에, 그러므로 Kasmā: 왜, 무엇 때문에 -smā는 탈격, '~때문에'의 의미
Yadā: 어느 때 Tadā: 그 때 Kadā: 언제 -dā는 '시간'의 의미
Yena: 어떤 것으로 Tena: 그것으로   -ena는 도구격, '~것으로' 의미
Yāva: 어느 정도로, ~한에서 Tāva: 그 정도로, 그 한에서   -va는 '~정도로'의 의미

 

별도로 '-dā'와 관련해서 sabbadā / sadā 도 있다.

'모든 때, 항상'이라는 뜻이다.

 

무아의 특징 경에서도 'yasmā ~ tasmā~' 구문이나 'yaṃ~ taṃ~' 구문이 나온다.

이렇듯 관계구문은 y로 시작하는 관계대명사가 나오면, 뒷 문장에서 s/t로 시작하는 지시대명사가 거의 생략되지 않고 나온다.

혹은 반대로 s/t로 시작하는 지시대명사가 나오면, 뒷 문장에서 y로 시작하는 관계대명사가 나오기도 한다.

 

이 경우 항상 y로 시작하는 관계대명사 구문을 먼저 번역하면 편하다고 한다.

뜻은 '~는데'로 해석하면 우리말 해석이 편리하다.

 

 

8.

실제 문장에서 관계 구문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로 나누어 표현해본다.

 

Yassā so putto hoti / sā mātā puññavatī hoti.

어떤 여자에게 그 아들이 있는데, 그 어머니는 공덕이 있는 여자다.

 

Yo taṃ dīpaṃ pāleti / so dhammiko bhūpati hoti.

어떤 자는 그 섬을 보호하는데 그는 법다운 왕이다.

 

Yo atthaññu hoti / so kumāre anusāsituṃ āgacchatu.

이득을 아는 자인 그는 소년들을 훈계하기 위해 와주십시오.

 

Yaṃ ahaṃ ākaṅkhamāno ahosiṃ / so āgato hoti.

내가 어떤 이를 기대하고 있었는데, 그가 왔다.

 

Yena maggena so āgato / tena gantuṃ ahaṃ icchāmi.

그가 왔던 어떤 길로 가기를 나는 원한다.

 

Yāni kammāni sukhaṃ āvahanti / tāni puññāni honti.

행복을 가져오는 그 행위들은 공덕들이 된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