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36

빳타나 Magga paccaya(도 조건)에 대한 이해 (2) 앞서 Magga paccaya(도 조건)에 대해 공부한 바 있다. 아래 내용은 해당 부분을 공부하면서 필자가 궁금했던 내용을 우 실라 사야도께 여쭙고 스스로 정리한 것들이다. 1. 도 조건의 구성 요소는 12가지이다. 그러나 이 12가지에 해당하는 마음부수는 9가지이다. 아래 3가지 마음부수는 각각 1가지가 아닌 2가지 도의 구성 요소에 매칭된다. 마음부수 '일으킨 생각' → 도의 구성 요소 '바른 사유' or '그릇된 사유' 마음부수 '정진' → 도의 구성 요소 '바른 정진' or '그릇된 정진' 마음부수 '집중' → 도의 구성 요소 '바른 삼매' or '그릇된 집중' 막가(magga, 도)는 중립적인 의미로 '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 목적지는 사악처나 열반이다. 팔정도는 열반으로 인도한다. 나.. 2024. 4. 24.
빳타나 Sampayutta paccaya(관련 조건), Vippayutta paccaya(비관련 조건)에 대한 이해 19. Sampayutta paccaya (관련 조건) Sampayutta paccaya (관련 조건) = 함께 결합하여 모여 작용함 · 네 가지 음식을 섞어 놓은 짜두마두와 같다. · 깨기름, 버터, 꿀, 당밀이라는 네 가지를 서로 따로따로이지 않게 섞어 두었기 때문에 각자의 맛, 작용이 사라지고 네 가지 맛 모두를 느끼며 먹을 수 있다. · 그와 마찬가지로 마음과 접촉, 느낌, 인식 등의 마음부수들은 어느 한 대상을 접할 때 동시에 생겨난다. · 하나씩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섞여서 생겨난다. "19. 관련 조건이란 - 정신의 무더기(마음과 마음부수) 네 가지는 서로서로 관련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우 실라 사야도, '분명한 앎', 빤짜간다바라밀공덕회(2021) 1. 마음(ceto=citta)과.. 2024. 4. 20.
빳타나 Magga paccaya(도 조건)에 대한 이해 18. Magga paccaya(도 조건) Magga paccayo (도 조건) = 바른 길이 보내줌 · 좋은 곳으로 인도해주는 바른 길이 있는 것처럼 나쁜 곳으로 이르게 하는 그른 길도 있다. (→ 필자 주: 2가지 도가 있다.) · 바른 길은 팔정도가 있다. · 정견 등의 바른 길, 팔정도를 따라 가는 이만이 진실한 행복인 열반에 이를 수 있다. · 도 조건은 12가지 도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챙김, 바른 삼매, 그릇된 견해, 그릇된 사유, 그릇된 정진, 그릇된 집중 마음부수 9가지(지혜, 일으킨 생각,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마음챙김, 집중, 사견) "도 조건이란 - 도의 요소들⁸⁵⁾은 도와 결합한 법들.. 2024. 4. 13.
보시와 포살, 감각적 욕망과 선업 공덕, 보호명상에 대한 이야기 1. ‘일상생활에서의 아비담마 Abhidhamma in daily life’에서 아신 자나까 비왐사 스님은 "특별히 부처님이나 벽지불에게 보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승가 전체에 하는 보시가 가장 공덕이 크다"라고 말씀하신다. 그러나 M142 「보시의 분석 경」을 보면 부처님의 양모이신 마하빠자빠띠 고따미가 부처님께 옷을 보시하려고 하자 세존께서는 승가에 보시하라고 이르시면서 "승가에 보시하면 나에게도 공양하는 것이 되고 승가에도 공양하는 것이 된다"라고 설하신다. 그리고는 “개인에게 하는 보시가 승가에게 하는 보시보다 그 과보가 더 크다고 나는 절대 말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신다. 부처님이나 벽지불 역시 개인이다. 위 2가지는 서로 상충하는 설명인 것 같은데,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먼저 스님에게 .. 2024. 4. 8.
7가지 법을 두고 왜 오장애(pañca-nīvaraṇa)라고 할까? 1. ① 감각적 쾌락(kāmāchanda) ➁ 악의(vyāpāda) ➂ 해태와 혼침(thīna-middha) ④ 들뜸과 후회(uddhacca-kukucca) ⑤ 의심(vicikichā) ⑥ 무명(avijjā) 처음 5가지 법은 '다섯 가지 장애(오장애, 오개, pañca-nīvaraṇa)'라고 불린다. 선정을 증득하지 못하게 하는 주 장애 요소들이다. 아비담마에서는 무명을 더하여 여섯 가지 장애라고 부른다. 통찰지가 일어나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 요소이다. 니와라나(nīvaraṇa)는 nis(밖으로) + √vṛ(덮는다)는 뜻으로 덮어버린다는 뜻이다. 따라서 장애로 옮긴다. 주석서에서는 이 장애들이 천상의 길과 열반의 길을 방해하기 때문에 장애라 한다고 설명한다. 장애에 지배되고 있으면 선법을 닦을 수 없고.. 2024. 4. 5.
빳타나 Jhāna paccaya(선정 조건)에 대한 이해 17. Jhāna paccaya(선정 조건) Jhāna paccayo (선정 조건) = 집중하여 보고 있음. ·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이와 같다. · 산의 정상에서 아래 전망을 넓게 볼 수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더 넓게 볼 수 있다. · ...망원경으로 보는 것처럼 [먼 곳도] 가깝게, 자세히 볼 수 있다. · 다섯 가지 선정, 선업 선정 등이 아주 집중하여 대상을 보면 바른 봄(견해)을 얻을 수 있고, 자세한 봄을 얻을 수 있고, 열반까지 향해 갈 수 있다. · "높은 곳에 올라 아래 전체를 보듯이 대상을 다 알 수 있고 볼 수 있음" "선정 조건이란 - 선정의 요소들은 선정과 결합한 법들에게, 또한 그 선정 때문에 생겨난 물질들에게 선정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 우 실라 사야도, '분명한 앎',.. 2024. 4. 3.
업무용승용차관련비용명세서 [업무용승용차관련비용명세서]는 업무용승용차와 관련된 세무조정 내역을 기재하는 메뉴이다. 업무용승용차 관련 비용에 대한 세무조정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업무승용차의 감가상각 시부인, 업무용승용차 관련 비용 중 업무외사용금액 손금불산입, 감가상각비 한도초과액 손금불산입이 그것이다. 비영업용 소형승용차 매입세액은 불공제되므로 부가세 포함 금액 전체가 장부상 취득원가로 계상된다. 임차료와 유류비와 같은 비영업용 소형승용차 관련 매입세액도 매입세액 불공제분이므로 부가세 포함 금액이 장부상 비용으로 계상된다. 1단계 감가상각 시부인 작업은 상각범위액을 5년 정액법에 따라 1/5 금액으로 감가상각비 계상했는지를 따져서 강제상각시킨다. 따라서 문제에서 회사계상 업무용승용차 감가상각비가 5년 정액법에 따른 금액이 아닌 .. 2024. 3. 30.
법인세과세표준및세액조정계산서 [법인세과세표준및세액조정계산서]는 법인세 과세표준과 세액을 계산하는 내역을 기재하는 메뉴이다. [법인세과세표준및세액조정계산서] 문제에서 나오는 세무조정 내용은 대체로 소득금액조정합계표에 따로 세무조정 내역을 기록할 필요 없이 해당 양식에서 바로 익금산입과 손금산입 총액을 각각 계산하여 소득조정금액란에 입력한다. 즉, 문제에서 나오는 세무조정 내용에 대해 익금/손금 산입 여부를 판단하여 총액을 바로 기재한다. 별도로 세무조정내역이라고 표기되지 않아도, 법인세는 기타사외유출 손금불산입 대상이다. 세법상 비중소기업이라면 중소기업과 다르게 취급되는 것들이 있다. 이월결손금이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80% 까지만 손금 산입된다. 중소기업은 100% 한도로 손금 산입된다. 연구인력개발비세액공제가 최저한세 적용 대상.. 2024. 3. 28.
가산세액계산서 [가산세액계산서]는 가산세액의 계산내역을 기재하고 집계하는 메뉴이다. 각각의 경우에 어떤 가산세가 적용되는지, 어떤 감면 규정이 적용되는지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한후신고라는 것은 법정납부기한을 넘긴 것이고, 그 때까지 무신고이므로 무신고 가산세가 적용된다. 무신고 가산세는 납부세액 기준, 수입금액 기준 중 높은 금액을 채택하지만, 이 부분은 프로그램에서 판단해주므로 문제에서 제시된 2가지 정보를 모두 입력한다. 무신고 가산세는 가산세율 입력 시 신고 기간에 따라 50% 감면이 붙으므로 감면 적용 여부를 확인하여 둘 중 하나의 가산세율을 입력한다. 무신고 가산세에는 당연히 납부지연 가산세가 따라붙는다. 납부지연 가산세에는 가산세 감면 항목이 없다.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 미제출도 1개월 이내 제.. 2024. 3. 26.
최저한세조정계산서 [최저한세조정계산서]는 감면 후 세액과 최저한세를 계산하고, 조세감면의 배제 여부를 검토하는 내역을 기재하는 메뉴이다. [공제감면세액및추가납부세액합계표]에서 최저한세 적용 대상 세액공제·세액감면 확인 → [법인세과세표준및세액조정계산서] 왼쪽 부분 입력 후 저장 → [최저한세조정계산서] 불러오기 후 최저한세 적용 대상 세액공제를 '세액공제'란에 입력하여 조정후세액 확인 → [법인세과세표준및세액조정계산서] 오른쪽 부분에 최저한세 적용 대상 공제감면세액, 적용 제외 공제감면세액, 기납부세액을 차례로 입력하여 최종 '차감납부세액'을 확인한다. 최저한세 적용 여부는 [공제감면세액및추가납부세액합계표]를 참고한다. 해당 메뉴에서 'Ctrl + F'를 통해 키워드로 찾는다. 최저한세 적용배제 세액공제들은 최저한세 적용.. 2024. 3. 24.
일반연구및인력개발비명세서 [일반연구및인력개발비명세서]는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액을 계산하는 내역을 기재하는 메뉴이다. 연구·인력개발비로 인정되는 인건비는 연구전담부서에서 연구 업무에 종사하는 연구요원 및 이들의 연구 업무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자의 인건비를 말한다. 그러나 주주인 임원으로서 총발행주식의 10%를 초과하여 소유하는 자의 인건비는 연구·인력개발비로 인정되는 인건비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일반연구및인력개발비명세서]의 인건비 금액에서도 제외하고 입력한다. 일반연구 및 인력개발비 발생내역에는 연구개발전담부서의 연구요원 인건비와 연구전담부서에서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재료비용이 포함된다. 또한 인건비와 재료비는 계정과목으로는 제조원가에 해당하는 '경상연구개발비'와 무형자산에 해당하는 '개발비'로 할당될 수 있다. 중소기업.. 2024. 3. 23.
재가자는 금생, 내생, 출세간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1. 재가자는 금생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디가자누 경 (A8:54) Dīghajāṇu-sutta 1. ..."세존이시여, 저희 재가자들은 감각적 욕망을 즐기고 자식들이 북적거리는 집에서 살고 까시에서 산출된 전단향을 사용하고 화환과 향과 연고를 즐겨 사용하고 금은을 향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이러한 저희들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고 내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는 법을 설해주소서." 2.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 사는 자여¹⁶²⁾, 네 가지 법은 선남자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준다. 무엇이 넷인가?" ¹⁶²⁾ "...왜냐하면 그의 선조가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가문의 남자들은 그렇게 불렸다." (AA.iv.137~138)... 꼴리야족의 남자들은 모두 이렇게 불리었다고 한다.. 2024. 3.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