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반/빠알리어

-a로 끝나는 남성명사, 중성명사의 격변화 정리 (1과-8과 복습)

by Rihan 2023. 4. 2.
728x90

1.

먼저 -a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격변화를 복습한다.

  단수 복수
주격 naro narā 은, 는, 이, 가
목적격 naraṃ nare 을, 를, -로
도구격 narena narehi(narebhi) -에 의해서, -와 함께, -를 통해서
(= by, with, through)
탈격 narā, narasmā
naramhā, narato
narehi(narebhi) -로부터, -에게서, -때문에
(= from)
여격 narāya, narassa narānaṃ -에게, -를 위하여
(= to, for)
소유격 narassa narānaṃ -의, -에게
처소격 nare, naramhi, narasmiṃ naresu -에, -에 있어서, -에 관하여
(복수로 쓰일 땐 -가운데)
호격 nara narā "-여" (부르는 말)

 

도구격 명사 뒤에 saddhiṃ / saha 가 붙는 경우, '-와 함께'라고 해석한다.
이 두 단어는 도구격 명사가 사물일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오직 그것이 사람과 생물일 때만 함께 사용된다.

 

탈격 단수 중 -ā 로 변하는 것은 주격 복수와 형태가 같다.

이 경우 주격 복수로 먼저 번역해보고, 의미상 그게 아닐 경우에 탈격 단수로 번역한다.

 

-ehi/ebhi는 도구격 복수와 탈격 복수의 형태가 서로 같다.

 

여격 단수와 소유격 단수는 -ssa로 격변화 형태가 같다.

여격 복수와 소유격 복수는 -ānaṃ으로 격변화 형태가 같다.

 

처소격 단수는 -e로 목적격 복수 격변화와 같다.
따라서 e 격변화가 나오면 처소격 ‘-에’로 먼저 번역해보고, 어색하면 목적격 ‘-을/를’로 번역한다.

빠알리어에서 s는 h와 같고, sm은 mh와 같다고 한다.
처소격 -mhi와 -smiṃ는 사실상 같은 형태로의 격변화로 볼 수 있고, 탈격 smā와 mhā도 동일한 원리로 볼 수 있다.

 

 

2.

빠알리어의 대명사는 다음 6개가 있다.

aham mayam 우리 (1인칭)
tvam tumhe 너희, 당신들 (2인칭)
so/sā 그/그녀 te 그들 (3인칭)


이 6가지 주격에 맞는 현재형 동사 어미도 총 6가지로 정리된다.

단수 복수 예시 비고
mi ma gacchāmi / gacchāma 1인칭 동사 어미 mi, ma는 앞에 a가 올 경우 해당 a가 ā 장음 처리된다.
si tha gacchasi / gacchatha  
ti nti gacchati / gacchanti  

 

 

3.

이번엔 -a로 끝나는 중성명사의 격변화를 복습한다.

Phala는 '열매'라는 뜻이다.

  단수 (ṃ) 복수 (āni)
주격 Phalaṃ phalā, phalāni
목적격 phalaṃ, phale phalāni
호격 phala phalāni

 

중성명사는 주격, 목적격, 호격을 제외한 나머지 격들의 경우 남성명사와 격변화 패턴이 동일하다.

 

a로 끝나는 단어는 남성명사 아니면 중성명사만 있다고 한다.
ā로 끝나는 단어는 여성명사이고, o로 끝나는 명사는 남성명사라고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