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처소격은 시간적, 공간적, 개념적인 위치, 범위,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격이다.
빠알리어에서 처소격은
1) 단수는 -e / -mhi / -smiṃ 으로 격변화하고
2) 복수는 -esu 로 격변화한다.
뜻은 -에, -에 있어서, -에 관하여로 번역하고,
특히 복수로 쓰일 때는 -가운데라고도 번역한다.
여기서 처소격 단수 격변화 -e는 목적격 복수 격변화와 같은데,
따라서 e 격변화가 나오면 처소격 ‘-에’로 먼저 번역해보고, 어색하면 목적격 ‘-을/를’로 번역하면 된다.
더하여 빠알리어에서 s는 h와 같고, sm은 mh와 같다고 한다.
처소격 -mhi와 -smiṃ는 사실상 같은 형태로의 격변화로 볼 수 있고, 탈격 smā와 mhā도 동일한 원리로 볼 수 있겠다.
2.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의 처소격 격변화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수
nara + e / mhi / smiṃ = nare / naramhi / marasmiṃ : 사람에, 사람에 있어서
mātula + e / mhi / smiṃ = mātule, mātulamhi, mātulasmiṃ : 삼촌에, 삼촌에 있어서
kassaka + e / mhi / smiṃ = kassake, kassakamhi, kassakasmiṃ : 농부에, 농부에 있어서
복수
nara + esu = naresu : 사람들에, 사람들 가운데
mātula + esu = mātulesu : 삼촌들에, 삼촌들 가운데
kassaka + esu = kassakesu : 농부들에, 농부들 가운데
3.
실제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단수
Sappo narasmiṃ patati. 뱀은 사람에 떨어진다.
Putto mātulamhi pasīdati. 아들은 삼촌에 대해 기뻐한다.
Vāṇijo kassakasmiṃ pasīdati. 상인은 농부에 대해 기뻐한다.
*pasīdati 는 처소격을 요구하는 동사라고 한다. 뜻은 ‘~에 대해 기뻐하다’이다.
복수
Sappā naresu patanti. 뱀들은 사람들에 떨어진다.
Puttā mātulesu pasīdanti. 아들들은 삼촌들에 대해 기뻐한다.
Vāṇijā kassakesu pasīdanti. 상인들은 농부들에 대해 기뻐한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열반 > 빠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알리어 중성명사 격변화 - 단수는 ṃ으로 변하고, 복수는 āni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8과) (1) | 2023.02.04 |
---|---|
빠알리어 호격 - 단수는 원형(-a)을 사용하고, 복수는 장음(-ā)으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8과) (0) | 2023.02.04 |
빠알리어 소유격 - 단수는 ssa로 변하고 복수는 ānaṃ으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6과) (1) | 2023.02.01 |
빠알리어 여격 - 단수는 āya, ssa로 변하고 복수는 ānaṃ으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5과) (0) | 2023.01.31 |
빠알리어 탈격 - 단수는 ā, mhā, smā로 변하고 복수는 ehi, ebhi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4과)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