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반/빠알리어

빠알리어 처소격 - 단수는 e, mhi, smiṃ로 변하고 복수는 esu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7과)

by Rihan 2023. 2. 3.
728x90

1.
처소격은 시간적, 공간적, 개념적인 위치, 범위,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격이다.
빠알리어에서 처소격은

1) 단수는 -e / -mhi / -smiṃ 으로 격변화하고
2) 복수는 -esu 로 격변화한다.

뜻은 -에, -에 있어서, -에 관하여로 번역하고,
특히 복수로 쓰일 때는 -가운데라고도 번역한다.

여기서 처소격 단수 격변화 -e는 목적격 복수 격변화와 같은데,
따라서 e 격변화가 나오면 처소격 ‘-에’로 먼저 번역해보고, 어색하면 목적격 ‘-을/를’로 번역하면 된다.

더하여 빠알리어에서 s는 h와 같고, sm은 mh와 같다고 한다.
처소격 -mhi와 -smiṃ는 사실상 같은 형태로의 격변화로 볼 수 있고, 탈격 smā와 mhā도 동일한 원리로 볼 수 있겠다.


2.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의 처소격 격변화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수
nara + e / mhi / smiṃ = nare / naramhi / marasmiṃ : 사람에, 사람에 있어서
mātula + e / mhi / smiṃ = mātule, mātulamhi, mātulasmiṃ : 삼촌에, 삼촌에 있어서
kassaka + e / mhi / smiṃ = kassake, kassakamhi, kassakasmiṃ : 농부에, 농부에 있어서

복수
nara + esu = naresu : 사람들에, 사람들 가운데
mātula + esu = mātulesu : 삼촌들에, 삼촌들 가운데
kassaka + esu = kassakesu : 농부들에, 농부들 가운데


3.
실제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단수
Sappo narasmiṃ patati. 뱀은 사람에 떨어진다.
Putto mātulamhi pasīdati. 아들은 삼촌에 대해 기뻐한다.
Vāṇijo kassakasmiṃ pasīdati. 상인은 농부에 대해 기뻐한다.

*pasīdati 는 처소격을 요구하는 동사라고 한다. 뜻은 ‘~에 대해 기뻐하다’이다.

복수
Sappā naresu patanti. 뱀들은 사람들에 떨어진다.
Puttā mātulesu pasīdanti. 아들들은 삼촌들에 대해 기뻐한다.
Vāṇijā kassakesu pasīdanti. 상인들은 농부들에 대해 기뻐한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