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믿음3

재가자는 금생, 내생, 출세간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1. 재가자는 금생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디가자누 경 (A8:54) Dīghajāṇu-sutta 1. ..."세존이시여, 저희 재가자들은 감각적 욕망을 즐기고 자식들이 북적거리는 집에서 살고 까시에서 산출된 전단향을 사용하고 화환과 향과 연고를 즐겨 사용하고 금은을 향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이러한 저희들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고 내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는 법을 설해주소서." 2.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 사는 자여¹⁶²⁾, 네 가지 법은 선남자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준다. 무엇이 넷인가?" ¹⁶²⁾ "...왜냐하면 그의 선조가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가문의 남자들은 그렇게 불렸다." (AA.iv.137~138)... 꼴리야족의 남자들은 모두 이렇게 불리었다고 한다.. 2024. 3. 20.
재생연결식을 결정하는 무거운 업, 임종에 다다라 지은 업, 습관적인 업, 이미 지은 업 (아비담마 길라잡이 5장) §19. 과보를 주는 순서에 따라(pāka-dāna-pariyāyena) 과보를 주는 순서에 따라 네 가지 업이 있으니 (1) 무거운(garuka) 업 (2) [임종에] 다다라(āsanna) [지은] 업 (3) 습관적인(āciṇṇa) 업 (4) 이미 지은(kaṭattā) 업이다. ...여기서 pāka는 √pac(to cook)에서 파생된 남성명사로 '익음'을 뜻한다. 이것은 과, 보, 과보, 이숙 등으로 옮긴 vipāka(vi+√pac)와 같은 어근을 가진다. dāna는 √dā(to give)에서 파생된 중성명사로서 '보시'의 뜻으로 정착된 단어이다. 여기서는 문자적인 뜻 그대로 '주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서 이 둘을 합한 pāka-dāna를 '과보를 주는'으로 옮겼다. '순서'로 옮긴 pariyāya.. 2023. 9. 6.
3. 아름다운 마음부수들 25가지 - 아름다운 반드시들 19가지 (1) 1. 왜 ‘유익한 마음’이 아니라 ‘아름다운 마음’(beautiful mind)인가? - 아름다운(sobhana) 마음은 유익한 마음, 유익한 과보의 마음, 작용만하는 마음을 포괄한다. - 과보의 마음과 작용만 하는 마음은 유익하다는 말을 붙일 수 없다. 유익한 업을 짓지 않기 때문이다. - 그렇지만 이 두 가지 마음은 좋은 것이다. 그래서 3가지 마음을 통틀어 ‘아름다운 마음’이라 말한다. 2. 25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법은 ‘반드시들’ 19가지, ‘때때로들’ 6가지 - 절제 3가지, 무량함 2가지, 어리석음 없음 1가지로 구분된다. 아름다움에 공통되는 마음부수들 19가지 (sobhana-sādhāraṇā) 이들은 모든 아름다운 마음에 공통된다. 아름다운 마음에는 반드시 이 마음부수들이 함께 나타난다... 2022. 11.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