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55

가르침의 6가지 덕목 - ⑤ 가까이 가져와야 한다 / 열반으로 가까이 이끈다opanayiko고 말하는 이유 2가지 5. 다섯 번째 덕목 - 가까이 가져와야 하는opanayiko / 열반으로 가까이 이끄는opanayikoopanayiko dhammo.① 가까이 가져와야 한다 가르침은.② (열반으로) 가까이 이끈다 가르침은. upaneti / upanayati가까이 이끌다, 가까이 가져오다: upa-가까이, ~를 향하여 + √nī이끌다, 가져오다-eyya~되어야 할-ika: 형용사화 접미사Opanayiko가 일반적인 표기이지만, opaneyyiko로도 쓰인다. 대림스님은 청정도론에서 opanayiko를 '향상으로 인도하는'으로 번역하셨다.이는 오빠나이꼬를 설명하는 청정도론 83~84번 문단 중 84번 문단 의도에 충실한 의역으로 보인다. 그러나 83번과 84번의 오빠나이꼬는 그 함의가 다르다.다른 덕목들과 달리 오빠나.. 2025. 7. 23.
가르침의 6가지 덕목 - ④ 와서 보라고 할 만하다ehipassiko고 말하는 이유 2가지 4. 네 번째 덕목 - 와서 보라고 할 만한ehipassikoehipassiko dhammo.와서 보라고 할 만하다 가르침은. ehi와서: √i(가다) → eti(가다, 오다)의 명령형 → ehi(와라! Come! = "오세요")pass보라: passati(보다)에서 파생된 명령형 → passa(보라! See! = "보세요")-ika~할 만한: 형용사화 접미사-o: 남성 단수 주격따라서 ehipassiko는 '와서 보라고 할 만한'의 뜻을 가진다. 어떤 이유로 가르침dhamma은 와서 보라고 초대할만하다고 말하는가?2가지 이유로 법은 에히빳시꼬라는 덕목을 가진다. Vijjamānattā ca parisuddhattā ca.실재하기 때문이고, 완전히 청정하기 때문이다. Vijjamānattā실재하기 때문에.. 2025. 7. 10.
가르침의 6가지 덕목 - ③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akāliko고 말하는 이유 1가지 3. 세 번째 덕목 - 시간이 걸리지 않는akāliko akāliko dhammo.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가르침은. a-아니다: 영어의 not과 의미가 같은 부정 접두사kāla시간: 어간의 역할을 하는 명사-ika~와 관계된, ~적인: 형용 접미사-o: 남성 단수 주격 어미아깔리꼬는 직역하면 '시간에 관계되지 않은 → 즉시의, 즉각적인'의 뜻이 된다.즉, 어떤 것을 하면 결과가 바로 나온다는 뜻이다. 여기서 '어떤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출세간법 중에서도 '도magga'를 말한다.출세간법 중 네 가지 도는 결과를 받기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언제 실천해도 곧바로 다음 심찰나에 과보를 받는다. 반대로 kālika는 '시간에 속하는, 시간의 제약을 받는'의 뜻을 가진 형용사다.이것은 모든 세간법들에 해당하.. 2025. 7. 2.
가르침의 6가지 덕목 - ② 직접 볼 수 있다sandiṭṭhiko고 말하는 이유 4가지 2. 두 번째 덕목 - 직접 볼 수 있음sandiṭṭhiko Sandiṭṭhiko dhammo.직접 볼 수 있다 가르침은. saṃ-완전히: 함께, 완전히, 철저히diṭṭha보여진: √dis(보다, to see) 동사의 과거분사형-iko성질을 가진: '~에 관련된, ~의 성질을 가진' 형용사형 접미사 -ika + 남성 단수 주격 -o출세간법은 지금 여기에 현전하고, 누구에 의해서가 아닌 나 스스로 완전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이 산딧티꼬의 의미다.즉, 부처님 법은 본인이 직접 보고 깨달을 수 있다는 덕목을 가진다.본인이 직접 보고 깨달을 수 있는 법의 공덕이 산딧티꼬입니다.- 아신 빤딧자 사야도, 『여래가 오신 길 보물산 둘레길』 p.494, (사)법승 담마야나(2017) 앞서 스왁카또 설명에서도 언급했듯,.. 2025. 6. 27.
가르침의 6가지 덕목 - ① 잘 설해졌다Svākkhāto고 말하는 이유 5가지 1. 첫 번째 덕목 - 잘 설해짐Svākkhāto Svākkhāto bhagavatā dhammo.잘 설해졌다 세존에 의해 가르침은. Su-좋은, 훌륭한 + akkhāti말하다, 과거분사 akkhāta설해진 + -o 단수 주격 어미 → Svākkhāto잘 설해진 (서술어)Bhagavant + ā 도구격 어미 → 세존에 의해 (행위자)Dhamma + -o 단수 주격 어미 → 가르침은 (주어)가르침의 첫 번째 덕목인 스왁카또는 빠리얏띠와 출세간법 9가지에 모두 적용된다.그러나 나머지 5가지 덕목은 출세간법 9가지에만 적용된다. 빠알리어는 어미 격변화를 통해 해당 단어가 문장 내 어느 위치에 있건 간에 해당 단어의 문장 내 역할을 추론할 수 있다.조사에 의해 역할이 분명하므로 어순이 자유로운 한국어와 비슷하다.. 2025. 6. 19.
가르침의 6가지 덕목과 담마눗사띠 부처님의 공덕은 9가지가 있었다.가르침의 공덕은 6가지가 있다.Svākkhāto bhagavatā dhammo, sandiṭṭhiko, akāliko, ehipassiko, opanayiko, paccattaṃ veditabbo viññūhīti.가르침은 세존에 의해 잘 설해졌고,직접 볼 수 있으며,시간이 걸리지 않고,와서 보라고 할 만하며,가까이 가져와야 하고 열반으로 이끄는 것이며,지혜로운 이들이 각자 스스로 알아야 하는 것이라 한다. 1. 가르침, 담마란 무엇인가?가르침은 가짓수로는 10가지이다. 9가지 출세간법(4가지 도, 4가지 과, 열반)에 흔히 교학이라고 말하는 pariyatti(학습, 배움, 이론적 이해) 1가지를 더해 총 10가지를 가르침이라고 칭한다.Dhamma의 어근은 √dhṛ(붙들.. 2025. 6. 9.
부처님의 9가지 덕목과 그 이유 61가지 총정리 0. 우리는 왜 부처님의 공덕을 배우고 수지하는가? (자세히 보기)Itipi so Bhagavā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Arahaṁ 모든 번뇌로부터 떠나셔서 특별한 공양을 받을 만한 분이시며,Sammāsambuddho 스스로 바르게 깨달은 분이시며,Vijjācaraṇasampanno 지혜와 실천을 구족한 분이시며,Sugato 바른 말을 하시고 열반으로 잘 가신 분이시며,Lokavidū 모든 세상을 잘 아시는 분이시며,Anuttaro purisadammasārathi 길들일 만한 이들을 가르치는 데 최고인 분이시며,Satthā devamanussānaṁ 천신과 인간의 스승인 분이시며,Buddho 일체지를 깨닫고 다른 이들을 깨닫게 해 주시는 분이시며,Bhagavā. 최상의 복덕을 구족한 분이십니다. .. 2025. 6. 4.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⑨ 세존bhagavā이신 이유 15가지 9. 아홉 번째 덕목 - 세존bhagavā So bhagavā itipi bhagavā.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최상의 복덕을 구족하신 분이다.√bhaj(나누다, 분배하다, to divide, to share) → bhaga(행운, 번영, 복덕, luck, fortune) -vant(~를 지닌) → 어말 nt 탈락, 장음 처리 → -vā(~을 가진 자)Bhagavant → bhagavā: 행운·존귀함을 지닌 이, 복덕을 소유한 이, 거룩한 분, 존경받을 분世尊(세상 세, 높을 존) →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bhaj → bhaga' 변화는 어원학적으로 '분배받은 몫이 큰 것'이 곧 '풍요, 행운, 복덕'을 뜻한다는 것으로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이를 교학적으로 해석해 보자면 몸과 말과 .. 2025. 5. 27.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⑧ 부처님buddho이신 이유 2가지 8. 여덟 번째 덕목 - 부처님buddho So bhagavā itipi buddho.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일체지를 갖추시고, 중생들을 깨닫게 해 주시는 분이시기 때문에) 붓도이시다. √budh(알다, 깨어나다, 이해하다, to know, to wake, to understand) + -ta(과거분사) → buddha: 깨달은 자여기에 -o(남성 주격 단수)가 붙으면 → buddho: 그 깨달은 분즉, buddho는 문장에서 주어로 서술·호칭될 때 쓰이고, buddha는 기본형으로 쓰이는 어간이다.염불이나 부처님의 공덕을 기릴 때엔 Buddho, 일반적인 설명이나 책 표기 등에서는 Buddha를 쓴다. 2가지 이유로 붓도라고 말한다.① 알아야 할 모든 법을 아시기 때문에, 혹은 ② 스스로 사성제를 .. 2025. 5. 12.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⑦ 천인사satthā devamanussānaṁ이신 이유 2가지 7. 일곱 번째 덕목 - 천인사satthā devamanussānaṁ So bhagavā itipi Satthā devamanussānaṁ.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천신과 인간의 스승인 분이시다. √śās (가르치다, 훈계하다, to instruct) + 행위자 접미사 -tṛ → "가르치는 자" → satthā: 스승Deva(천신) + manussa(인간) + ānaṁ(소유격 복수) → 신들과 인간들의(=모든 중생들의)한자어 天人師 역시 '스승 사'를 써서 '신과 인간의 스승'이라는 뜻이다.삿타에는 가르친다는 '스승'의 뜻 외에도 이끈다는 '지도자'의 뜻도 있다.Sattha(대상단, caravan) + vāha(이끄는 자, √vah 운반하다, carry) → "대상단을 이끄는 자" → satthavā.. 2025. 5. 6.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⑥ 무상사 조어장부anuttaro purisadammasārathi이신 이유 3가지 6. 여섯 번째 덕목 - 무상사 조어장부anuttaro purisadammasārathi So bhagavā itipi anuttaro purisadammasārathi.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길들일 만한 이들을 가르치시는 데 가장 뛰어난 분이시다. An-(부정, 없음) + uttara(√ud: 올라가다 → "더 높은, 보다 뛰어난") → anuttaro = "더 높은 이가 없음, 위 없음"Purisa(남자, 사람, 인간) + √dam (길들이다, 제어하다, tame, control) → purisadamma = "길들일 만한 사람"√sar(몰다) + -thi(행위자) → sārathi = "마부, 길잡이"위 3가지를 합쳐길들일 만한 중생들을제도하는 데 있어으뜸이신 분이라는 뜻이 된다. 한자어 어원 .. 2025. 4. 28.
부처님의 9가지 덕목 - ⑤ 세간해lokavidū이신 이유 4가지 5. 다섯 번째 덕목 - 세간해lokavidū So bhagavā itipi lokavidū.그 세존께서는 이런 이유로 세상을 잘 아시는 분이시다. Sabbathāpi viditalokattā pana lokavidū.모든 세상을 꿰뚫어 아시기에 로까위두이시다. Loka(세상, world) + √vid(알다, to know)라고 하여 로까위두를 '모든 세상을 꿰뚫어 아시는 분'이라고 한다.Sabba(모든) + -thā(곳) + pi(또한) √vid(알다) + -ita(과거분사) + loka(세상, 세계) + -tta(~때문에) pana(또한) lokavidū한자어로도 世間解는 '세상 세, 공간 간, 이해할 해'로 세간을 모두 이해하신다는 뜻이다.36. 모든 방면에서 세상을 아시기 때문에 세상을 잘 아시는.. 2025. 4.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