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ebhi2

빠알리어 탈격 - 단수는 ā, mhā, smā로 변하고 복수는 ehi, ebhi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4과) 1. 탈격이라는 문법 용어는 다소 생소한데, ‘누구 또는 무엇에서 비롯되는 것을 나타내는 문법 용어’라고 한다. 한자어 탈(奪)은 ‘빼앗을 탈’을 쓰며, 강탈할 때 탈이 이것이다. 누구에게서, 무엇에게서, 무엇으로부터 등 대상의 기원, 원인, 이탈 성향을 말할 때 사용되며 ‘-로부터’, ‘-에게서’, ‘-때문에’라고 번역한다. 영어로는 from과 유사하다 할 것이다. 빠알리어에서는 -a로 끝나는 명사가 탈격이 될 때 1) 단수는 -ā / -mhā / -smā 로 변한다. 2) 복수는 -ehi / ebhi 로 변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1) 탈격 단수 중 -ā 로 변하는 것은 주격 복수와 형태가 같다. 따라서 주격 복수 의미로 먼저 번역해보고, 의미상 그게 아닐 경우에 탈격 단수로 번역한다. 2) 탈격 복.. 2023. 1. 30.
빠알리어 도구격 - 단수는 ena로 변하고, 복수는 ehi/ebhi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3과) 1. 도구격은 1) -에 의해서 (=by) 2) -와 함께 (=with) 3) -를 통해서 (=through) 세 가지 중 하나로 해석한다. 2. -a로 끝나는 남성명사가 도구격으로 격변화할 때 1) 단수는 -ena로 변한다. 2) 복수는 ehi/ebhi로 변한다. buddha → buddhena, putta → puttena 와 같이 어미에 '-ena'가 붙으면 무조건 도구격이다. nara + ena = narena : 사람에 의해서 mātula + ena = mātulena : 삼촌과 함께 kassaka + ena = kassakena : 농부를 통해서 마찬가지로 어미에 ehi/ebhi가 붙으면 도구격 복수일 것이다. nara + ehi = narehi (narebhi) : 사람들에 의해서 mātul.. 2023. 1.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