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오문인식과정4

인식과정의 요약표 (아비담마 길라잡이 4장) '혼합문'은 '오문+의문'을 의미한다. 오문인식과정에서 매우 큰 대상, 큰 대상, 작은 대상, 매우 작은 대상은 '문에 충격을 주는 힘의 강도 차이'에 따라 표현된 것이다. (e.g. 5만원, 1만원, 500원, 10원) 의문인식과정은 감각의 문이 개입되지 않고 마노의 문에서만 일어나므로 순의문 인식과정이라고도 부른다. 출처: 대림스님·각묵스님 옮김, '아비담마 길라잡이 제1권', 초기불전연구원(2017) 2023. 8. 1.
“인식과정에서 일어나는 마음 14개와 바왕가 3개를 합한 것이다. 그 다음에 그 대상은 멸한다. 이 대상을 '매우 큰 것'이라고 부른다.” (아비담마 길라잡이 4장) II.1. 오문(五門)인식과정 Pañcadvāravīthi §6. 매우 큰 대상 6-1. 어떻게? 일어남, 머묾, 무너짐의 세 찰나를 하나의 심찰나(citta-kkhaṇa)라 한다. 물질의 수명은 이 17개의 심찰나에 해당한다. 다섯 가지 감각의 대상은 한 개의 심찰나나 혹은 여러 개의 심찰나가 지나간 뒤 '머무는 찰나'에 다섯 가지 감각의 문의 영역에 나타난다. 1. 1. 하나의 심찰나(citta-kkhaṇa): 아비담마에서는 마음의 수명을 심찰나라고 부른다... 이렇게 극미의 찰나적인 존재이지만 그 심찰나는 다시 일어남(uppāda)과 머묾(ṭhiti)과 무너짐(bhaṅga)의 세 아찰나로 이루어진다. 이런 극미의 심찰나에 마음은 일어나서 자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소멸되는 것이다. 이 마음은 바로 다음.. 2023. 7. 10.
“이런 여섯 가지 인식과정은 오문인식과정(pañcadvāra-vīthi)과 의문인식과정(manodvāra-vīthi)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아비담마 길라잡이 4장) 1. 인식과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모든 필요 불가결한 조건들이 반드시 현전해 있어야 한다. 주석서들에 의하면(「청정도론」 XV.95 참조) 각각의 인식과정에서 필요 불가결한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1) 눈의 문에서 일어나는 인식과정을 위해서는 1️⃣ 눈의 감성(cakkhu-pasāda) 2️⃣ 형색이라는 대상(rūpa-ārammaṇa) 3️⃣ 빛(āloka) 4️⃣ 마음에 잡도리함[작의, manasikāra]이 있어야 한다. (2) 귀의 문에서 일어나는 인식과정을 위해서는 1️⃣ 귀의 감성(sota-pasāda) 2️⃣ 소리라는 대상(sadda-ārammaṇa) 3️⃣ 허공(vivara, ākāsa) 4️⃣ 마음에 잡도리함이 있어야 한다. (3) 코의 문에서 일어나는 인식과정을 위해서는 1️⃣ 코의 감.. 2023. 7. 7.
“인식과정과 인식을 철저히 이해하면 조건지어져 일어나는 마음은 내 마음이 아니라는 것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필자는 인식, 산냐(saññā)에 대해서 공부한 것을 짧게 소개한 바 있다. 해당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짧은 담마] 뭉뚱그려서 인식한다. 표상을 만든다. 표상에 따라 이해한다. 무수한 취착을 야기한 1. 인식, 산냐(saññā)에 대한 설명 “a1, a2… 의 경우를 보고 a라고 뭉뚱그려서 인식하는 행위라 보면 되겠다.” (아비담마 길라잡이 1권 P.226) “대상을 받아들여 개념 작용을 일으키고 이름 붙이 rihankim.tistory.com 해당 글에 선배 도반께서 댓글로 인식과 인식과정에 대한 조건 발생 과정을 이해하면 그로 인해 무아적 특성이 드러남을 해체해서 일러주셨다. 존재는 늘 대상이라는 조건에 조건지어져 있고, 그 대상을 조건으로 과보의 마음은 일어난다. 전오식, 받아들.. 2022. 12.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