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바른 생계5

13가지 삿된 생계(micchā-ājīva), 6가지 바른 생계(sammā-ājīva) 1.생계는 '먹고사는 것'이다.  2.삿되게micchā 생계를 유지하는 것ājīva, 즉 잘못된 방식으로 먹고사는 게 삿된 생계다.주로 13가지를 말한다. 그 중 4가지는 몸으로 짓는 악행 3가지와 음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다.살생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것동물, 벌레를 죽이거나 낙태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다.도둑질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것삿된 음행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여자가 자신의 감각욕망을 소유한 남성 외에 음행하면 삿된 음행이며, 이런 잘못된 음행으로 먹고 산다면 삿된 생계다.남자가 자신이 보호하고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여인, 혹은 돈으로써 일시적으로 소유한 성매매 여성 외의 여성과 음행하면 삿된 음행이다. 상대 여성이 음행에 동의했더라도 그 여성의 보호자가 동의하지 않.. 2024. 11. 6.
재가자는 금생, 내생, 출세간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1. 재가자는 금생의 행복을 어떻게 얻는가? 디가자누 경 (A8:54) Dīghajāṇu-sutta 1. ..."세존이시여, 저희 재가자들은 감각적 욕망을 즐기고 자식들이 북적거리는 집에서 살고 까시에서 산출된 전단향을 사용하고 화환과 향과 연고를 즐겨 사용하고 금은을 향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이러한 저희들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고 내생의 이익과 행복을 주는 법을 설해주소서." 2.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 사는 자여¹⁶²⁾, 네 가지 법은 선남자에게 금생의 이익과 행복을 준다. 무엇이 넷인가?" ¹⁶²⁾ "...왜냐하면 그의 선조가 호랑이가 다니던 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가문의 남자들은 그렇게 불렸다." (AA.iv.137~138)... 꼴리야족의 남자들은 모두 이렇게 불리었다고 한다.. 2024. 3. 20.
바른 말과 행동, 본삼매를 가져오는 바른 사유(sammā-saṅkappa) 1. 청정도론 16장 78번~80번 문단을 보면 3가지 절제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대상을 말한다. - 바른 말(sammā-vācā)은 바른 사유(sammā-saṅkappa)와 연결되어 있다. - 바른 행위(sammā-kammanta)는 바른 말과 연결되어 있다. - 바른 생계(sammā-ājīva)는 바른 말과 바른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 필자는 여기서 바른 행위와 바른 생계 역시 '바른 사유'와 연결되어있다고 하지 않고, 굳이 각각 '바른 말’, ‘바른 말과 바른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우 실라 사야도께 이 부분을 여쭈어보니, 뜻으로는 바른 행위와 바른 생계도 '바른 사유'와 연결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고 하셨다. 바른 사유를 통해 생계와 상관없는 바른 말과 행위, 생계와.. 2023. 11. 7.
세 가지 절제(virati)는 어떻게 출세간 마음에서는 함께 일어날 수 있을까? 아비담마 길라잡이 5장 24-1번 문단의 해설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궁극적인 것(dhamma)의 관점에서 본다면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선업과 말로 짓는 네 가지 선업은 두 가지 절제, 즉 바른 행위와 바른 말의 마음부수법에 해당한다 1. 절제(virati)는 vi(분리하다) + √ram(to rejoice), '기뻐하는 것에서 벗어난다'는 뜻이다. 바른 행위는 세 가지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를, 바른 말은 네 가지 말로 짓는 나쁜 행위를 절제하고 제어하고 금한다. 절제는 아름다운 마음들과 함께 일어나지만 때때로 일어나는 마음부수들이다. 절제의 마음부수들은 욕계 유익한 마음 8가지, 출세간 도와 과의 마음 10가지에서 함께 일어난다. 세간적인 마음에서 절제는 말과 행동과 생계로 나쁜 행위를 할 기.. 2023. 11. 1.
3. 아름다운 마음부수들 25가지 - 아름다운 때때로들 6가지 (1) 1. 25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법은 ‘반드시들’ 19가지와 ‘때때로들’ 6가지로 구분된다. 2. 때때로들 6가지는 절제 3가지, 무량함 2가지, 어리석음 없음 1가지로 구분된다. 절제(virati) 3가지 - virati는 문자적으로는 ‘기뻐하는 것에서 벗어난다’이며, ‘끊음, 절제, 자제’를 뜻한다. - 니까야에서는 “네 가지 말로 짓는 나쁜 행위를, 세 가지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를, 그릇된 생계를 억제하고 절제하고 제어하고 금하는 것”(M117) 등으로 나타나고, “불선법을 억제하고 절제하며”(Sn. 264) 등으로 나타난다. - virati는 주석서와 아비담마에서 전문용어로 팔정도 중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셋을 지칭한다. - 절제는 세 가지 아름다운 마음부수로서 말과 행동과 생계로 나.. 2022. 11.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