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사무량심2

봉축 법문에서의 의문 - '질투의 반대는 연민이 맞는가?' 2024년 부처님 오신 날 향천선원의 봉축 법문은 아신 빠라구 스님이 해주셨다.부처님 오신날에 맞춰 여법한 법문을 설해 주시는 스님 덕분에 필자 역시 법문을 들으며 기쁘고 고무되는 자리였다.    다만 법문을 들으며 한 대목에서 필자에게 의문이 떠올랐는데, 스님이 "연민을 통해 질투가 사라진다"라고 말씀하신 대목이다.필자는 질투의 반대를 연민(karuṇā)이 아니라 함께 기뻐함(muditā)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원장님을 통해 스님께 다음과 같이 질문드렸다."봉축법회에서 스님이 연민(karuṇā)에 대해 말씀하실 때 남의 성공에 대해 질투(issā)하는 것을 사라지게 한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이 역할은 연민이 아니라 함께 기뻐함(muditā)의 역할이 아닌지요? 연민이 주로 불행한 중.. 2024. 6. 16.
함께 기뻐함(muditā)의 반대말은 왜 따분함(arati)일까? 함께 기뻐함은 4가지 무량한 마음 중 하나로, 남의 성공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이다. 남의 선업 뿐 아니라 세속적인 성공도 함께 기뻐함의 대상이다. 질투하지 않는 역할을 한다. 타인의 공덕을 본인에게도 똑같이 생기게 하는 유익한 과보가 있다. 청정도론에서 muditā는 따분함(arati)을 제거하면서 나타나고, 따분함을 가라앉힐 때 성취한다고 한다. 필자는 함께 기뻐함의 반대말에 왜 따분함이 나오는지 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웠고, 이와 관련하여 우 실라 사야도께 질문을 드렸다. 아래 내용 중 부족한 부분은 필자가 사야도의 답변을 잘못 이해한 것일 수 있다. 1. 청정도론에서 muditā 및 arati에 대해 언급한 대목은 다음과 같다. 95. 더불어 기뻐함의 특징은 [다른 자의 .. 2023. 9.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