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들뜸3

욕계의 업이 재생연결과 삶의 과정에서 과보를 가져오는 법칙 (아비담마 길라잡이 5장) III.2. 업의 과보 Kamma-vipāka 업이 과보를 가져오는 방법은 2가지다. 1️⃣ 재생연결식으로 과보를 가져오거나 2️⃣ 삶의 과정에서 과보를 가져온다. 즉,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 / 의 / 의식이다. §27. 해로운 업의 과보 여기서 들뜸을 제외한 해로운 업의 과보는 악처에 재생연결을 생산한다. 그러나 삶의 과정에서는 모든 12가지 해로운 마음은 욕계 세상의 모든 곳과 색계 세상에서 적절하게 7가지 해로운 과보를 생산한다. 1. 들뜸을 제외한 해로운 업: 어리석음과 들뜸에 뿌리박은 마음은 모든 해로운 마음들 가운데서 가장 미세하다. 그래서 재생연결을 일어나게 하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나머지 11가지 마음은 네 악처에 태어나는 중생들의 재생연결식과 바왕가와 죽음의 마음의 .. 2023. 9. 12.
2. 해로운 마음부수들 14가지 - (1) 모든 해로운 것에 공통되는 것들 4가지 (해로운 반드시들) 어리석음(moha), 양심 없음(ahirika), 수치심 없음(anottappa), 들뜸(uddhacca)의 네 가지 마음부수는 모든 경우의 해로운 마음이 일어날 때 항상 따라서 일어나는 마음부수들이다. 레디 사야도는 ‘어리석음의 네 개 조’라고 부르고 있다. 어리석음(치, moha) 경에서는 주로 lobha(탐), dosa(진)와 함께 나타나며 우리에게 탐진치 삼독으로 잘 알려진 용어다. 무명(avijjā)과 동의어다. 모든 해로움의 근원이다 → 모든 해로운 마음부수가 일어날 때는 항상 함께한다. 청정도론 XIV “161. … 이것 때문에 어리석고, 혹은 이것은 그 스스로 어리석고, 혹은 단지 어리석기 때문에 어리석음(moha)이라 한다. 163. 어리석음의 특징은 마음이 어두운 상태이다. 혹은 지혜가.. 2022. 10. 30.
산다는 것은 끊임없이 대상을 찾아 헤매는 것이다. 1. ‘숨’ (최동엽, 생각나눔, 2019) 중에서 산다는 것은 별것이 아니다. 마음이 끊임없이 대상을 찾아다니고, 찾아낸 그 대상에 반응하고, 그것이 습관이 되고, 그 습관으로 인해 다시 무언가를 찾아다닌다. 그것을 우리는 살아간다고 하고..(후략)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이 결국 보는 것, 듣는 것, 맡는 것, 먹고 맛보는 것, 몸으로 느끼는 것, 생각하는 것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라고 본다면 스마트폰에 빠져있을 때 우리는 자본주의의 노예, 자본주의 생산 시스템을 유지하고 확대 재생산 하기 위한 소비형 부품으로 살고 있다고 해도 될 정도이다. 이런 마음을 통해 자주 호흡의 고요함과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면 스마트폰에 헐떡거리는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고, 보고 들음의 노예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를.. 2022. 10.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