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빠알리어

빠알리어 처소격 - 단수는 e, mhi, smiṃ로 변하고 복수는 esu로 변한다. (빠알리 프라이머 7과)

Rihan 2023. 2. 3. 06:38
728x90

1.
처소격은 시간적, 공간적, 개념적인 위치, 범위,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격이다.
빠알리어에서 처소격은

1) 단수는 -e / -mhi / -smiṃ 으로 격변화하고
2) 복수는 -esu 로 격변화한다.

뜻은 -에, -에 있어서, -에 관하여로 번역하고,
특히 복수로 쓰일 때는 -가운데라고도 번역한다.

여기서 처소격 단수 격변화 -e는 목적격 복수 격변화와 같은데,
따라서 e 격변화가 나오면 처소격 ‘-에’로 먼저 번역해보고, 어색하면 목적격 ‘-을/를’로 번역하면 된다.

더하여 빠알리어에서 s는 h와 같고, sm은 mh와 같다고 한다.
처소격 -mhi와 -smiṃ는 사실상 같은 형태로의 격변화로 볼 수 있고, 탈격 smā와 mhā도 동일한 원리로 볼 수 있겠다.


2.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의 처소격 격변화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수
nara + e / mhi / smiṃ = nare / naramhi / marasmiṃ : 사람에, 사람에 있어서
mātula + e / mhi / smiṃ = mātule, mātulamhi, mātulasmiṃ : 삼촌에, 삼촌에 있어서
kassaka + e / mhi / smiṃ = kassake, kassakamhi, kassakasmiṃ : 농부에, 농부에 있어서

복수
nara + esu = naresu : 사람들에, 사람들 가운데
mātula + esu = mātulesu : 삼촌들에, 삼촌들 가운데
kassaka + esu = kassakesu : 농부들에, 농부들 가운데


3.
실제 예문을 통해 알아보자.

단수
Sappo narasmiṃ patati. 뱀은 사람에 떨어진다.
Putto mātulamhi pasīdati. 아들은 삼촌에 대해 기뻐한다.
Vāṇijo kassakasmiṃ pasīdati. 상인은 농부에 대해 기뻐한다.

*pasīdati 는 처소격을 요구하는 동사라고 한다. 뜻은 ‘~에 대해 기뻐하다’이다.

복수
Sappā naresu patanti. 뱀들은 사람들에 떨어진다.
Puttā mātulesu pasīdanti. 아들들은 삼촌들에 대해 기뻐한다.
Vāṇijā kassakesu pasīdanti. 상인들은 농부들에 대해 기뻐한다.



출처: 백도수 편역, 빠알리 프라이머, 고요한소리

728x90